search
logo

#입시

3특입시 두아이 대학보낸 소감

  • 익명
  • 일 년 전
  • 2.0k
  • 0
  • 3

3년특례로 두 아이의 입시를 끝냈습니다 .. 요즘 입시 시작하면서의 걱정이나 서류 or 지필 걱정 하시는 분들이 부쩍 많아진 것 같아 짧게나마 도움되시길 바라는 마음으로 글 올립니다..



제가 다른댓글에서도 3특은 입시전략을 잘 세워야한다고 했는데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내 아이가 학교 내신과 각종 영어스펙, 비교과활동, 특히 이과의 경우는 지필까지 모두 감당할수 있는 실력이 되는지를 엄마가 잘 파악해야한다는 것입니다.. 저 모든것을 그냥 감당만 하는것이 아니고 좋은 성적까지 나와줘야 하는 것이죠.. 서류인지 지필인지 전형을 선택할 시기를 궁금해 하시는데 보통 국제학교에서 저학년때부터 성실히 학교생활 잘해서 교과 내신성적이 잘나오고 있는 학생들이라면 고등학교 들어갈때쯤엔 영어실력이 잡혀있고 영어공인점수도 잘 나오기 시작할겁니다.. 아이가 고등과정에서도 계속 학교내신과 별도의 영어스펙이 모두 우수한 수준으로 진행되고 있다면 상위권 서류대학을 목표로 내신과 스펙을 최고수준으로 끌어올리기위해 최선을 다해야하구요.. (토플을 예로들면 제가 몇년동안 봐온 K.Y입학생들의 경우 고2 중반기 이후엔 대부분 115점 이상 되더군요..거기서 끝내지않고 더올리구요) 이과는 고대, 포항공대, 성대등을 생각한다면 수학지필도 꾸준하게 공부하는게 좋고, 성대를 생각하는 문과이면 국어실력이 어느정도 될 경우 고3 하반기엔 국어지필을 준비해야합니다.



고1말~고2중반정도까지 서류준비했는데 내신이나 영어스팩이 최상위는 안되고 성대.한대까지는 노려볼만하다 싶은 경우, 또는 올서류로만 넣기엔 불안하다 싶은 경우 그때는 지필공부도 병행해야 합니다.. 저 개인적으론 이 그룹의 학생들이 가장 고생이 많다고 생각합니다.. 우수한 서류를 챙기면서 지필까지 두마리 토끼를 잡는다는게 사실 말처럼 쉬운일은 아니거든요.. 학교마다 지필시험의 중요도가 다르니 서류와 지필공부의 적절한 안배로 두마리 토끼를 모두 잡아야 실패하지 않습니다..

사실 한양대가 100%지필일때는 특례 재수생이 지필로 갈수있는 최고의 대학이었기에 특례학원마다 상위권학생들은 거의다 재수생일정도로 지필만 올인 하는학생이 많았습니다.. 지금도 한양대 지필이 60%인걸 생각하면 우수한 내신은 기본으로 갖추면서 지필공부에도 최선을 다해야 할 것 같습니다. 2018 입시에 처음 서류 100으로 바뀐 중대의 경우 이번 최초합 학격생들의 스펙이 기존 서류대학들과 조금 달라서 당황스러운 분들도 많았는데 그래도 성실한 학교생활과 좋은내신이 기본인건 마찬가지일겁니다.



고2 중반기쯤 됐는데도 내신도 좋지않고 영어스펙들의 점수가 안나온다 싶으면 그땐 빨리 지필로 돌려서 지필에 올인하는게 아이 고생도 덜하고 입시도 실패하지 않는 길인것 같습니다. 이 카페나 다른곳에도 상위권 합격수기가 많이 올라오기때문에 눈에 안보여서 그렇지 생각보다 3특 지필학생이 훨씬 많습니다. 지필 상위권대학에 일찍부터 올인하는 학생들(특히 이과)은 고1때부터 시작할정도로 투자하는 시간이 많으므로 그런학생들과 경쟁한다고 생각하면 지필역시 결코 만만하게 생각하시면 안됩니다.



내신은 보통인데 영어스펙도 없고 지필공부하기도 늦었다 하는 학생들은 면접전형의 대학도 있습니다. 100% 지필대학인 경우는 내신이 바닥이어도 상관없는데 면접대학은 오히려 내신은 어느정도 신경쓰는게 좋습니다.





마지막으로 내신과 영어스펙이 아주 좋을경우는 일반수시의 특기자 전형을 노려볼 수 있지만 3년특례보다 더 힘든 길이 되가고있는 실정이라 3특 자격이 되는 학생은 웬만하면 특례에서 입시를 끝내는게 안전하고 8월에 합격이 된 상태라면 9월수시에 상향지원 해보기를 권합니다.





크게 몇 그룹으로 나눠서 말씀드렸지만 내 아이의 상태가 각 그룹의 중간정도에 해당되는 경우도 많으므로 각 전형을 적절히 섞어서 최선의 입시를 치루시기를 권합니다..



아직 입시의 감이 안잡히신 분들께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시길 바라는 맘으로 글이 길어졌네요.. 어디까지나 제 개인적인 경험으로 말씀드린 글이므로 대략적으로 입시를 이해하는데 참고만 하시고, 많은분들이 말씀하신 것처럼 다른아이들 하는 방식이나 카더라에 휩쓸리지 마시고 내 아이는 엄마가 가장 잘 알고 있으므로 아이에게 가장 좋은길을 제시해주면서 용기와 힘을 북돋아 줄수있는 어머니들이 되시길 바랍니다..

#후기
#2024대입
#2025대입
#2026대입
#수시
post-mid-banner-189
post-mid-banner-190
  • 익명

    #입시

    #2025대입

    2025학년도 수능 국어영역 해설 강의: 밑줄 긋기의 비밀

    한 달 전

    159 조회

    #2025대입

    2025 수능 미적분, 그 어려움의 끝을 보다

    한 달 전

    115 조회

    #수시

    수능 등급컷 완벽 분석: 당신의 전략은?

    한 달 전

    79 조회

    #2025대입

    2025 수능 대비, 과탐 문제 완벽 해설!

    한 달 전

    271 조회

    #2025대입

    2025학년도 수능 국어, 힐러문항 배제 이후의 새로운 방향!

    한 달 전

    121 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