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logo

#입시

좋은 대학 가기 쉬워진 이유 두가지

  • 익명
  • 일 년 전
  • 920
  • 0
  • 0

좋은 대학 가기 쉬워진 이유를 저 나름대로 정리해봤어요.

다들 이 내용 보고 서울대 희망하시는 분들 한정

희망을 가지실 수 있으면 해서? ㅎ 근데 뭐 서울대 간다고 모든게 보장되는 세상도 아니게 됐지만요...

1. 출산율 저하와 대학 입시

최근 대한민국에 출산율이 많이 떨어졌다는 건 잘 알려진 사실이죠.

출산율 하락 속도가 매우 빨라서, 예를 들어 제 둘째 아들이 2016년에 태어났는데, 2016년에는 한 해 40만 명이 넘던 출생아 수가 2022년에는 25만 명 이하로, 2023년에는 23만 명 수준으로 줄어들어 7년 사이에 약 43% 하락했습니다.

물론 대한민국의 출생아 수 감소는 최근 몇 년 사이의 일만은 아닙니다. 기록상 한 해에 가장 많은 사람이 태어난 1971년 이후 출생아 수는 지속적으로 감소해 왔고, 그 여파로 1994년 이후 수능 응시자 수는 계속 줄어들고 있습니다.

문제는 2010년 이후 최근 출생아 수의 감소가 매우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는 점인데, 이로 인해 학령 인구가 감소하면서 이미 지방 대학들은 하나둘 문을 닫고 있고, 앞으로는 '소멸 위기'를 걱정해야 할 정도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출산율이 이렇게 낮아지면 향후 대학 입시, 특히 상위권 대학의 입시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될까요? 이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해 수능 응시자 수 대비 상위권 대학의 입학 정원이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분석해보았습니다.

출생아 수가 줄어들어도 상위권 대학의 입학 정원에 변화가 없다면 대학 가기는 더 쉬워지는 것이고, 상위권 대학의 입학 정원이 더 빠르게 줄어든다면 대학 입학이 더 어려워지는 상황이 됩니다.

2. 서울대 입학이 더 쉬워졌을까?

우선 서울대학교의 입학 정원 변화를 살펴봤어요.

2010년 이후 현재까지 서울대 입학 정원은 3000명~4000명 사이에서 큰 변화가 없었던 반면, 수능 응시자 수는 눈에 띄게 줄어들었습니다. 이는 2010년 이전보다 서울대 입학이 더 쉬워졌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보는데요.

수능 응시자 대비 서울대 입학 정원의 비율을 살펴보니, 2010년경 0.5% 수준에서 2024년에는 0.8% 수준으로 올라갔어요.

또한, 출생아 수 기준으로 봐도 2010년경 0.45%였던 비율이 2024년에는 0.84%로 상승했습니다.

다시 말해, 요즘 서울대에 입학하는 것이 예전보다 쉬워진 거죠.

어차피 대학 입시는 상대평가입니다.

시험이 어려우면 모두에게 어렵고, 상대적으로 잘 본 학생이 합격하는 것이죠.

입시에 대한 지나친 걱정은 자녀에게 불필요한 부담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어요.

현실적으로 상위권 대학에 입학하는 것이 예전보다 쉬워진 것이 사실입니다.

그래서 저는 자녀에게 "서울대 가기가 예전보다 더 쉬워졌다"고 이야기해 주고 싶습니다.

마지막으로, 우리 아이들이 입시에 대한 두려움보다는 스스로를 믿고 노력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는 것이 부모로서의 역할이라고 생각해요.

데이터는 그렇게 말해주고 있으니까요.

#2024대입
#2025대입
#2026대입
#수시
#재수
post-mid-banner-189
post-mid-banner-190
  • 익명

    #입시

    #2025대입

    2025학년도 수능 국어영역 해설 강의: 밑줄 긋기의 비밀

    3달 전

    1219 조회

    #2025대입

    2025 수능 미적분, 그 어려움의 끝을 보다

    3달 전

    537 조회

    #수시

    수능 등급컷 완벽 분석: 당신의 전략은?

    3달 전

    659 조회

    #2025대입

    2025 수능 대비, 과탐 문제 완벽 해설!

    3달 전

    447 조회

    #2025대입

    2025학년도 수능 국어, 힐러문항 배제 이후의 새로운 방향!

    3달 전

    335 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