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게시글은 자탐 회원만 읽을 수 있습니다.
중3 1학기를 마치고, 고등학교 입학까지 1학기만을 앞두고 있는 ‘예비 고1’이 있습니다. 지금까지 거쳐온 초등학교, 중학교 시험과는 완전히 다른 고등학교 시험의 무게감에 대해서 아는 학생도, 모르는 학생도 있을 것입니다.
고등학생이 되기 전 미리 준비하면 좋은 것들에 대해서 정보를 얻기가 생각보다 힘들고, 저또한 그랬기에 예비 고1 여러분과 학부모님들께 작게나마 팁을 드리고 싶어 그 조언들을 모으고 정리해보았습니다.
◆고등 국어 선행
Q1. 중학교 때 국어, 영어, 수학을 수능 1등급 수준으로 만들어 놓아야한다는 말이 있는데 정말일까?
A. 수능 1등급은 쉽게 나오는 것이 아닙니다. 고3들, n수생들까지 포함해도 결국은 4%밖에 나오지 않습니다. 학부모님들은 물론 우리 아이가 잘 했으면 하는 마음에 그런 소문을 들으면 걱정이 앞서시는 것은 이해합니다. 다만 예비고1 아이들에게 수능 1등급을 바라는 것은 무리이고 전혀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Q2. 고등학교 대비 국어 선행은 어떤 식의 공부를 해야할까?
A1.국어는 국어감이 타고는 최상위권 아이들도 계속해서 감을 붙잡고 꾸준히 해야하는 과목입니다. 먼저 중등 국어와 고등 국어는 완전히 다릅니다. 예비 고1 과정 때 고등 문학으로 시작하여, 고등 국어의 기초를 배우고 고등 기본 문법을 배워야 합니다.
A2. 점차 비문학을 풀어보고 언매, 화작을 공부하며 꾸준히 감을 올려야 하는 과정을 거쳐야만 합니다. 지금부터 어떻게 공부해야하지 하며 조급해하시기보단, 예비고1때는 고교 기본 문법, 문학과 비문학에 대한 감을 잡는 정도를 하는 것을 차근차근 하시길 추천드립니다.
Q3. 예비 고1 특강 및 학원 꼭 필요할까 해야한다면 어디서 해야할까.
A1. 어디서 하든지간에 에비고 커리큘럼 주1 정도면 국어는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A2. 고등학교 국어 내신은 학교 배정이 나고 결정되는 것입니다. 일단은 내신은 고려하지 않고 학원이나 특강을 선택하는 것이 맞으니, 크게 고민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또 유명 강사 대형수업이라고 무조건 좋은 것은 아니고, 아이가 잘 적응하는지 성향파악을 미리 해보는 것도 중요합니다.
+추가로 고등학교 선행은 국어보다는 수학에 최대한 많은 시간을 투자하는 것이 좋습니다. 고등학교 수학 대비를 전혀하지 않고 입학을 하게 된다면 많이 애먹을 수도 있으니 참고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고등 과학 선행
Q1. 이과를 지망하고 있는데 과학 선행(물화생지)을 미리 안해도 되는걸까?
A1. 이과를 지망한다고 해서 지금 화학1, 생물1 선행을 꼭 해야하는 것은 아닙니다. 또 학교마다 내신 스타일도 다르다는 점도 고려해야합니다. 또한 수능 과목으로 어떤 과탐과목을 선택할지도 정해지지 않은 상황에서 화학1, 생물1을 공부하는 것은 아직은 불필요하다고 생각이 듭니다.
국영수 기본을 탄탄하게 하는 것을 예비 고1 때의 목표로 하고, 시간이 남는다면 그때 하시길 바랍니다.
Q2. 고1 통합과학 선행을 하는 것은 필수인가?
A1. 통합과학은 필수로 선행을 해야하는 과목은 아닙니다. 통합사회도 마찬가지입니다. 통합과학 과목은 수능 과목이 아닐뿐더러, 학교 내신 스타일에 따라 편차가 큰 과목에 해당합니다. 고등학교 입학 전 겨울방학에 빠르게 보고가는 정도로 추천드립니다.
#영어
영어 시험, 쉬웠다고? 인제나의 해설 강의로 속 시원히 풀어보자!
한 달 전
115 조회
#수학
수능 수학, 그 숨겨진 함정과 대비 전략
한 달 전
260 조회
#수학
수능 수학, 이렇게 풀면 된다! 김동완 선생님의 비법 공개
한 달 전
433 조회
#수학
고난도 문제를 정복하는 비법: 2025 대수능 미적분의 숨겨진 전략
한 달 전
124 조회
#수학
수능 수학, 두려움을 극복하고 자신감을 얻는 비결!
한 달 전
114 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