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logo

#초중등

[자탐연구서] 수능 1등급으로 이끄는 초중등 계획법

  • 익명
  • 3달 전
  • 940
  • 0
  • 0

회원가입 후 전체 콘텐츠를 볼 수 있습니다.

이 게시글은 자탐 회원만 읽을 수 있습니다.

처음 자탐에 방문하셨다면, 회원가입 후 이 게시글을 읽을 수 있습니다.

학생들이 공부를 시작할 때 가장 흔히 하는 실수 중 하나는 '그냥 하면 되지'라는 마음으로 계획 없이 시작하는 것입니다. 물론 행동이 빠른 것도 장점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효과적인 공부를 위해서는 반드시 계획이 필요합니다. 계획은 단순히 해야 할 일을 정리하는 것 이상의 의미를 가집니다. 잘 세운 계획은 시간을 절약하고, 공부에 대한 집중도를 높이며, 중간에 흔들리지 않도록 돕습니다. 지금은 계획이 필요없다고 느끼는 초등학생일지라도 앞으로 점점 늘어나는 방대한 공부량을 감당하려면, 어릴 때부터 계획 세우는 능력을 길러둬야 합니다!

 

1. 시작이 반이다.

 

공부 계획을 세우기 이전에 먼저 기억해야 할 것은, '일단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입니다. 고대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한 '시작이 반이다'라는 표현처럼, 공부도 마찬가지입니다. 계획을 세우다 보면 완벽하게 준비된 순간을 기다리게 되고, 오히려 시작 자체를 미루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공부를 미루다 보면 결국에는 오늘을 포기하게 되고, 포기한 날이 모여 학습 리듬이 깨지게 됩니다. 따라서 지금 이 순간부터 시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비록 계획했던 시간보다 늦게 시작하게 되었더라도, 남은 시간만이라도 최대한 활용하는 태도가 필요합니다.

 

2. 최소 시간 기준

 

계획을 세울 때 가장 흔한 실수 중 하나는 너무 이상적인 일정만을 고려한다는 점입니다. 하루 종일 모든 시간표를 빽빽하게 채워 넣으면 오히려 실천하기 어려워집니다. 예기치 않은 외부 변수, 예를 들어 가족 일정, 컨디션 저하, 외출 등이 충분히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현실적인 여유를 포함한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여유 시간을 포함해 계획을 세우고, 시간이 남았을 경우 그 시간에 추가 학습을 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훨씬 효율적입니다. 계획은 지킬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시작해야 합니다.

 

3. 시간별이 아니라 분량별로

 

시간 단위로 과목을 구분해 계획을 세우는 것보다, 할 일을 명확하게 분량 기준으로 정리하는 것이 더 효과적입니다. 예를 들어 '국어 공부 2시간'보다는 '국어 문제집 44~62페이지 풀기'와 같이 구체적인 목표를 설정해야 실천율이 높아집니다.

 

이러한 방식은 자신이 해야 할 작업의 범위를 명확히 인식하게 해주며, 완료했을 때의 성취감도 더 크게 느낄 수 있습니다. 또한 다음 계획으로 넘어갈지 여부를 판단하기도 쉬워집니다.

 

4. 유연한 조정과 피드백

 

계획은 처음부터 완벽할 수 없습니다. 자신의 학습 패턴을 이해하고, 점차 맞춰나가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하루 학습 시간을 2시간으로 시작한 후, 점차 3시간, 5시간으로 늘려보며 어느 정도가 자신에게 적절한지를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실제로 계획을 실행한 후에는 반성적 점검을 통해 계획을 조정하는 것도 매우 중요합니다.

 

집중력이 떨어지는 시간대가 있다면 그 시간에는 비교적 쉬운 과목을 배치하거나, 스트레칭, 산책 등 짧은 휴식을 넣는 등 집중력을 회복하는 활동을 계획 안에 포함시킬 필요도 있습니다. 공부 계획 역시 전략적으로 접근해야 하는 분야입니다.

 계획 PNG 일러스트 및 벡터 이미지 | 무료 다운로드 - Lovepik

공부 계획은 단순한 일정 정리가 아닙니다. 자신을 이해하고, 자기 주도적 학습을 실행하기 위한 출발점입니다. 구체적인 계획 수립과 실행, 점검 과정을 반복하면서 자신만의 학습 루틴을 만들어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중학생, 고등학생뿐 아니라 초등학생에게도 이러한 습관은 학습 전반에 걸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영어
#수학
#국어
#사탐
#과탐
#노하우
post-mid-banner-189
post-mid-banner-190
  • 익명

    #초중등

    #영어 #수학 #국어 #예체능 #후기 #사탐 #과탐 #노하우

    [자탐연구서] 초등학생 공부 습관, 어떻게 시작할까

    2달 전

    702 조회

    trash

    #수학 #노하우

    [자탐연구서] 수학 선행vs심화 뭐가 더 중요할까

    3달 전

    861 조회

    trash

    #영어 #노하우

    [자탐연구서] 영어 실력의 첫 계단, 영단어 학습

    3달 전

    1908 조회

    trash

    #국어 #노하우

    [자탐연구서] 수능 국어의 씨앗, 어린 시절 독서 습관

    4달 전

    783 조회

    trash

    #영어

    [자탐연구서] 아직도 영어 단어 그냥 외우게 시키고 있나요?

    4달 전

    1145 조회

    tra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