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휘랩연구소입니다:)
자신이 자신 있는 과목에서 가장 유리한 선택으로
대학을 정하는 것 또한 대입 전략이죠?
예비 고3의 학생들은 아직 희망 전공을 정하지 않고
진로 고민 중에 있다면 선택과목을 유리한 과목으로 정하는 것이 효과적이에요
최근 고교 학점제 시행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어요
고교 학점제는 2023년부터 단계적으로 적용되고
지금 초6 학생들이 고등학교에 입학하는 2025년부터는 본격적으로 시행되게 됩니다.
지역에 따라서는 이미 연구학교나 선도학교의 형태로 고교 학점제를 운영하고 있는 학교도 있어요
고교 학점제의 핵심은 학생이 주체가 되어서 과목을 선택하는 것이에요
본격 도입에 앞서 이미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현 고등학생들도
2학년부터는 본인이 원하는 과목을 선택해 듣고 있어요
그러나 어떤 과목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대입에서의 유불리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과목 선택에 신중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죠?
고교 교육과정에서 선택과목을 정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을 자세히 알아봐요!
희망 전공이 확실하다면 대학에서 제시한 교과 이수 권장 과목을 먼저 확인해 봐요
고교 학점제를 비롯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취지는 학생이 자신의 진로와
적성에 따라서 과목을 스스로 선택해서 이수하도록 함으로
다양한 학습 기회를 보장하고 학생 성장 중심의 교육을 실현하고자 함이에요
하지만 대입은 배제하고 본인이 원하는 과목만 수강하는 것은 어려운 현실이죠?
서울대학교는 지난 7월 2024학년도 대학 신입학생 입학 전형 예고사항을 통해서
전공에 따른 교과 이수 권장 과목을 제시하고
해당 전공을 공부하기 위해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배우기를 추천하는 과목이고
이 중에 핵심 권장 과목은 필수적으로 이수할 것을 권장하고 있어요
사회과학대학 경제학부는 미적분, 확률과 통계
자연과학대학은 화학 부는 화학, 미적분, 확률과 통계, 기하
생명과학부는 생명과학, 미적분, 화학, 확률과 통계, 기하 등
이 외에도 모집 단위에 따라서 핵심 권장 과목, 권장 과목을 두고 있어요
성적에 유리한 진로 선택방법
그리고 수능과의 연계를 고려하는 방법이에요
예를 들어서 사회탐구의 경우에는 수능에서 많은 학생들이 선택하는 과목은
생활과 윤리, 사회문화, 한국지리 순이에요
사회 교과의 경우 수시에서도 전공에 따른 과목 영향이 적기 때문에
수능과 동일한 과목을 선택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어요
현 고1,2 학생들은 이미 내년에 수강하게 될 과목 선택이 완료되었을 시기이지만
예비 고1은 그렇지 않아요. 이번 겨울방학에는 더욱 진지하게
자신의 진로에 대해 고민해 보는 시간이 필요하겠죠?
모든 대학이 특정 과목 이수를 요구하는 것은 아니지만
대부분의 교과전형이나 정시처럼 성적으로만 정량평가하는 전형을
고려하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전공과 관련된 과목이 아닌
성적에 유리한 과목을 선택하여서 대입에 조금 더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해요!
전 국민 수험생 여러분들 모두 힘내세요^^
#2025대입
2025학년도 수능 국어영역 해설 강의: 밑줄 긋기의 비밀
한 달 전
183 조회
#2025대입
2025 수능 미적분, 그 어려움의 끝을 보다
한 달 전
134 조회
#수시
수능 등급컷 완벽 분석: 당신의 전략은?
한 달 전
98 조회
#2025대입
2025 수능 대비, 과탐 문제 완벽 해설!
한 달 전
286 조회
#2025대입
2025학년도 수능 국어, 힐러문항 배제 이후의 새로운 방향!
한 달 전
136 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