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게시글은 자탐 회원만 읽을 수 있습니다.
오늘은 영어문법의 기초인 have to와 must의
정확한 의미와 역할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준비했어요!
영문법에서 자주 등장하고 시험 문장에서도 자주 등장하죠?
휘쌤과 함께하는 시간으로 쓰임새를 완벽하게 파악해봐요
have to를 처음 봤을 때는 어떻게 해석하는 것이 가장 적절한지
헷갈렸던 기억이 있지 않으셨나요?
많은 영어시험에서 영어 문장, 영어 지문들을 볼 수 있는데
그중 다수가 짧은 영어 문장 보다는 긴 영어 문장으로 이루어져 있어요
문장을 분석할 때는 have to를 명확하게 이해하고 있어야
문장구조 분석과 해석을 쉽게 할 수 있어요
have to의 경우 문맥과 쓰임에 따라 의미 변화가 심한 영어 표현이에요
본격적인 학습에 들어가기 전에 먼저 조동사에 대해서 알아볼까요?
조동사는 주어와 동사 사이에서 동사를 꾸며주는 역할을 해요
can / should / might 등이 있어요
조동사의 쓰임을 먼저 파악하고 have to와 must에 접근하다면 더욱 쉽게 이해할 수 있어요
have to는 '~해야 한다'의 의무나 필요의 뜻을 가지고 있어요
사용하는 형태는 [have/has + to + 동사원형] 이에요
일상생활에서도 '공부를 해야 한다', '학교를 가야 한다' 등으로 많이 쓰이게 돼요
have to는 문장의 주어에 따라 다양한 형태 변화가 이루어지게 돼요
I/ We / You / They -> Have to
He / She / It -> Has to
주어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바뀌게 되어서
주어를 파악하여서 정확한 답을 찾는 것이 중요해요
일반 동사의 형태 변화와 동일하게 주어의 인칭에 주의하여 답을 찾을 수 있어요
Don't have to의 경우에는 '~할 필요 없다' 의미로 쓰이고
to 뒤에 오는 동사의 형태 변화는 없다는 것을 주의해야 해요!
have/has to 동사원형 형태 변화에 모두 적용할 수 있어요!
have to의 과거형은 had to로 사용되지만
must와의 차이점을 올바르게 알아야 해요
must는 과거형이 존재하지 않고 조동사이기 때문에
과거에 대한 형태 변화가 전혀 없답니다!
must의 '~해야 한다/ ~할 것이다'의 문장 형태 또한 [must + 동사원형]이고
'~해서는 안된다/ 분명히 ~하지 않을 것이다'의 의미는[must not + 동사원형]으로 사용할 수 있어요
must는 강한 확신이 드는 일에 대해 추측할 때 must와 must not을 사용해요
규정, 규칙에 대해서 말할 때 자주 쓰이는 표현으로
경고문이나 안내글 등에서 자주 확인할 수 있는 문구랍니다!
형태 변화가 없는 must와 시제에 따라서 형태가 바뀌는 have to의 쓰임 정확하게 파악되셨을까요?
조동사를 제대로 파악했다면 어떻게 쓰이는 지 조금 더 쉽게 파악할 수 있을 거예요!
기초 영문법의 개념만 탄탄하게 실력을 기른다면
심화문제도 잘 해결할 수 있을 거예요 :)
수험생 여러분 모두 9월 모의고사 고생하셨고
잘 이해되지 않는 부분은 언제나 휘쌤을 찾아주세요^^
#영어 #수학 #국어 #예체능 #후기 #사탐 #과탐 #노하우
[자탐연구서] 초등학생 공부 습관, 어떻게 시작할까
2달 전
722 조회
#영어 #수학 #국어 #사탐 #과탐 #노하우
[자탐연구서] 수능 1등급으로 이끄는 초중등 계획법
3달 전
953 조회
#수학 #노하우
[자탐연구서] 수학 선행vs심화 뭐가 더 중요할까
3달 전
883 조회
#영어 #노하우
[자탐연구서] 영어 실력의 첫 계단, 영단어 학습
3달 전
1932 조회
#국어 #노하우
[자탐연구서] 수능 국어의 씨앗, 어린 시절 독서 습관
4달 전
807 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