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logo

#초중등

다양한 의미의 [ As ] !

회원가입 후 전체 콘텐츠를 볼 수 있습니다.

이 게시글은 자탐 회원만 읽을 수 있습니다.

처음 자탐에 방문하셨다면, 회원가입 후 이 게시글을 읽을 수 있습니다.

오늘은 헷갈리기 쉬운 As의 다양한 의미들을 가져왔어요!

다양한 의미를 지니는 단어들은 실전에서 문제를 풀 때도 혼란을 줄 수 있죠?

어휘 공부가 확실하게 되지 않는다면 전혀 다른 보기와 답이 될 수 있답니다!

오늘은 As의 다양한 의미를 다 알려드리진 않을 거예요!

한 번에 전부를 외우게 되어도 다 기억할 수 없어서

휘쌤이 수능에서 특히 많이 나오는 의미의 순위로 핵심을 알려드릴게요^^


지난 시간에도 As의 쓰임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해 드렸지만

다양한 의미로 쓰여지는 어휘이기 때문에 수능에서의 문제출제 가능성은 굉장히 크겠죠?

다양한 의미를 가지는 어휘들은 실전에서 쉽게 혼돈할 수 있기 때문에

출제자들이 가장 좋아하는 어휘이기도 해요!

하지만 우리는 절대 흔들리지 않고 꼼꼼한 학습법으로 약해지지 않도록 해요!


문장을 해석할 때는 자연스러운 문장을 실전에서도 쉽게 떠올릴 줄 알아야 해요!





AS 뒤에 따라오는 부분(즉, [] 괄호 안의 부분)이 길다고 해서 접속사 AS가 아니에요

반대로 괄호 부분이 짧다고 해서 전치사 AS로 해석되는 것도 아니에요!

핵심은 괄호 부분에 V(동사)의 유무로 접속사AS냐, 전치사 AS냐로 구분되는 것이고

이에 따라 해석이 완전 달라지는 것이에요!

학생들이 괄호 부분이 길어지면 당연하게 접속사 AS로 해석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러면 안 돼요!

예문으로 보면서 As의 쓰임을 정확하게 볼까요?



Moreover, as [ museums and universities drew(V있으니 -> ~함에 따라) further apart toward the end of the nineteenth century,] and [as(앞이랑 병렬이니 접속사AS) the idea of objects as [a highly valued route to knowing the world ] went into decline], collecting began to lose its status as [ a worthy intellectual pursuit, especially in the sciences. ] [고3 22학년도 6월 31]


해석 : 더욱이, 박물관과 대학이 19세기 말로 가면서 서로 더 분리되고 연구 대상이 세상을 알아가는 매우 중요한 방법으로서 역할이 감소하면서, 특히 과학에서 ‘수집’은 가치 있는 지적 추구로서의 지위를 잃기 시작했다.



*여기서 AS가 접속사AS인 건 아는데 어떤 의미를 선택해서 넣어야할 지 모르겠죠?

우선은 기본적으로 수능에서 제일 많이 나오는 뜻 ‘ ~할 때’, ‘~때문에’를 제일 먼저 떠올려주세요

그리고도 부자연스러운 경우에는 ~함에 따라(시간에 경과) -> 보통은 해당 문장의 동사가 변화의 의미를 담고 있을 때 자주 쓰이는 의미랍니다!

혹은 ‘~처럼’이라고 해석해주시면 자연스럽게 해석이 될 거예요.






Most historians of science point to the need for a reliable calendar to regulate agricultural activityas[ the motivation for learning about what we now call astronomy, the study of stars and planets. ]

(2021년 6월 29번 출제)


As 다음이 괄호 부분에 동사가 없어요! 그럼 ~ 로서나 ~처럼의 뜻으로 되겠죠?


해석 : 대다수의 과학 역사학자들은 현대인이 천문학으로 부르는 것에 대한 배움의 동력으로 농업 활동을 통제하는 신뢰할 만한 달력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People from more individualistic cultural contexts tend to be motivated to maintain self-focused agency or control as [ these serve (v 동사 )as [ the basis of one’s self-worth. ]<- 동사 X]

(2020년 6월 29번 출제)


As가 한 문장 안에서 자주 보이더라도 동사의 여부에 따라서 뜻을 파악하는 것 중요하겠죠?


해석 : 개인 중심의 통제가 자존감의 기본이므로 개인주의 문화에 더 가까운 사람들은 개인 중심의 통제를 유지하고자 한다.





Some of the most insightful work on information seeking emphasizes “strategic self-ignorance,” understood as [ “the use of ignorance as [ an excuse to engage excessively in pleasurable activities that may be harmful to one’s future self.” ] ]

(2021년 6월 32번 출제)



해석 : 정보 탐색에 대한 통찰력 주는 연구는 “미래의 자신을 해칠 수 있는 재밌는 활동에 지금 과하게 참여하고자 하는 변명으로 무지를 사용”한다는 뜻인 “전략적인 자기 무지”를 강조한다.




두 AS 다음 부분에 동사가 없죠?


그러나 as 가 다른 단어와 합쳐지거나, 특이한 문법 표현으로 나타날 경우는 완전히 새로운 의미로 해석이 되니까

따로 암기하고, 앞으로 아래에 나오는 표현들은 덩어리째 반응해서 해석하도록 해요!


- as long as / as far as + [ S + V ] : ~하는 한

- as if + [ S + V ] : ~인 것처럼

- as is ~ / as + [ V + S ] : ~하듯이

- (as) + 형 / 부 / 명 + as + [ S + V ] , : ~임에도 불구하고






As long as the user’s focus is on the technology itself rather than its use in promoting learning, instruction, or performance, then one ought not to conclude that the technology has been successfully integrated. (2020년 11월 출제)


해석: 사용자가 학습 및 수업 지도를 향상시키는 기술의 사용보다 기술 그 자체에 집중하는 한, 기술은 성공적으로 (학습에) 통합되었다고 할 수 없다.







They may later be discarded as the demands of present societies change, or even, as is presently occurring in the former Eastern Europe, when pasts have to be reinvented to reflect new presents. (2018년 수능 홀수형 33번)


해석: 현 사회의 요구가 달라질 때, 혹은 심지어 구 동유럽에서 현재 일어나는 것처럼, 새로운 현재를 반영하기 위해 과거가 재창조될 필요가 있을 때 그들은 이후에 버려질 수 있다.





이외에도 As의 쓰임은 굉장히 다양해요

어휘 공부를 할 때 중요한 것은 무조건적으로 다양한 뜻을 외우는 것보다는

수능에 자주 출제되는 뜻으로 외우는 것이 좋아요 !

대부분의 출제 의도는 출제자 모두 비슷하여서

너무 광범위한 어휘 공부보다는

효율적인 공부로 어휘 공부를 해 보도록 해요!

어느 정도 기본 어휘가 공부가 되었다면

다양한 어휘의 쓰임에 대해서도

꼼꼼하게 확인해보도록 해요! ^^

#영어
search

휘랩대치관리형스터디카페

4 구독자

post-mid-banner-189
post-mid-banner-190
  • 익명

    #초중등

    #영어 #수학 #국어 #예체능 #후기 #사탐 #과탐 #노하우

    [자탐연구서] 초등학생 공부 습관, 어떻게 시작할까

    2달 전

    722 조회

    trash

    #영어 #수학 #국어 #사탐 #과탐 #노하우

    [자탐연구서] 수능 1등급으로 이끄는 초중등 계획법

    3달 전

    953 조회

    trash

    #수학 #노하우

    [자탐연구서] 수학 선행vs심화 뭐가 더 중요할까

    3달 전

    883 조회

    trash

    #영어 #노하우

    [자탐연구서] 영어 실력의 첫 계단, 영단어 학습

    3달 전

    1932 조회

    trash

    #국어 #노하우

    [자탐연구서] 수능 국어의 씨앗, 어린 시절 독서 습관

    4달 전

    807 조회

    tra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