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게시글은 자탐 회원만 읽을 수 있습니다.
Nature은 매년 수능에도 자주 출제될 만큼 출제 빈도가 높은 어휘에요!
Nature
자연, 천성, 본성
형용사형 natural
자연의, 쳔연의, 당연한, 재능을 타고난 사람
우리가 보편적으로 알고 있는 뜻은 바로
자연이라는 뜻이죠?
하지만 수능에서는 '자연'이라는 의미보다 많이 나오는 뜻은
'본질, 속성' 이에요!
자격증 시험이나 수능을 준비하는 수험생이라면
Nature을 보면 1순위로 떠올려야 하는 뜻은 바로 '본질'이에요~
얼마나 어휘 공부를 섬세하게 했느냐에서
단어의 뜻이 '자연' 하나만 알고있는지
'본질, 속성' 까지 같이 알고 있는지 달라지겠죠?
자격증 시험이나 수능 시험에서는 보편적으로 아는 뜻을 넣지 않고
함정 문제들을 만들기 위해 쉽게 알 수 있는 단어들을 넣으면서
단어의 뜻이 다양한 단어를 넣기 때문에 섬세한 어휘 공부가 필요해요!
그렇지만 무조건 보편적인 뜻을 사용하지 않는 것은 아니므로
문맥상의 흐름을 잘 파악해야 해요^^
[예문]
It’s not in his nature to be unkind.
- 불친절한 것은 그의 천성이 아니다.
She is very sensitive by nature.
- 그녀는 천성이 아주 예민하다.
We appealed to his better nature.
- 우리는 그의 더 나은[착한] 천성에 호소했다.
the changingnatureof society
- 사회의 변화하고 있는 본질
수능에 자주 출제되었던 Nature 을 보면서
실수하지 않도록 연습해 볼까요?
------------------------------------------------------------------------------
Asthe natureof sarcasm implies a contradiction between intent and message, nonverbal cues may “leak” and reveal the speaker’s true mood as they do in deception. -2016년 9월 평가원 모의고사 38번
해석: 풍자의 본질은 의도와 메시지 사이의 모순이기에, 비언어적 힌트는 아마도 속일 때처럼 처럼 청자의 진짜 기분을 드러낸다.
However, private capital started to flow into seed production and took it over as a sector of the economy, creating an artificial split between the two aspects of the seed’s nature: its role as means of production and its role as product. -2015년 수능 33번
해석: 그러나, 개인 자본은 종자 생산에 유입되기 시작했고 종자 생산을 경제 분야로서 장악해버렸다.
종자의 속성이 지닌 두 가지 측면(생산으로서의 역할 VS 상품으로서의 역할) 사이의 인공적인 분리를 만들면서.
Still, many believe we will eventually reach a point at which conflict with the finitenature of resources is inevitable. - 2015년 9월 평가원 모의고사 39번
* 그러나, 의역해서 본질, 원래 가지고 있는 속성이기에 ‘선천’과 동일한 의미를 지니기도 해요. 이럴 때는 보통 ‘후천’과 동일한 선상에 있는 nurture, learning(배움), education(교육) 등과 대비되어서 지문에서 출제됩니다. *
The interaction between nature and nurtureis, however, highly complex, and developmental biologists are only just beginning to grasp just how complex it is. Without the context provided by cells, organisms, social groups, and culture, DNA is inert. - -2019년 수능 23번
해석 : 그러나, 후천과 선천 간 상호관계는 매우 복잡하고, 발달 생물학자들은 얼마나 그 관계가 복잡한 지 이제야 대략 감을 잡기 시작했다. 세포, 조직, 사회 조직, 문화가 제공하는 맥락 없이는 DNA는 작동하지 않는다.
* 그러나 진짜 내용이 자연과 환경에 대한 것이면 제일 먼저 떠올려야 하는 뜻은 ‘자연’이겠죠?*
One remarkable aspect of aboriginal culture is the concept of “totemism,” where the tribal member at birth assumes the soul and identity of a part of nature. - -2016년 6월 33번
해석: 원주민 문화 중 눈에 띄는 하나는 ‘토테미즘’이라는 개념인데, 그 개념은 출생 시 부족 멤버가 자연 일부의 혼과 정체성을 띈다고 생각하는 개념이다.
거의 매년 수능에 출제되고 있는 만큼 Nature 어휘의 중요도가 높은 거 아시겠죠?
이제 문장에서의 Nature의 뜻을 정확하게 파악했으니
실전에서는 실수하지 않고 풀어나가는 연습도 꾸준하게 해야 해요!
며칠 후 진행되는 고3 모의평가에도
충분한 실력을 발휘하길 바랄게요~!
휘랩 휘쌤이 항상 응원할게요!^^
#영어 #수학 #국어 #예체능 #후기 #사탐 #과탐 #노하우
[자탐연구서] 초등학생 공부 습관, 어떻게 시작할까
2달 전
722 조회
#영어 #수학 #국어 #사탐 #과탐 #노하우
[자탐연구서] 수능 1등급으로 이끄는 초중등 계획법
3달 전
953 조회
#수학 #노하우
[자탐연구서] 수학 선행vs심화 뭐가 더 중요할까
3달 전
883 조회
#영어 #노하우
[자탐연구서] 영어 실력의 첫 계단, 영단어 학습
3달 전
1932 조회
#국어 #노하우
[자탐연구서] 수능 국어의 씨앗, 어린 시절 독서 습관
4달 전
807 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