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게시글은 자탐 회원만 읽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휘랩연구소입니다:)
오늘의 수능 대비 어휘 시간은
헷갈리기 쉬운 의미의 Hardly 에요!
however, on the other hand, otherwise, never, no, not
이러한 내용은 눈에 딱 보이기 때문에 해석하는 데 무리가 없으시죠?
하지만 Hardly 는 그냥 보면 긍정적인 뜻이 있어 보이지만
부정어기 때문에 부정어를 생각하지 못하면
필자의 의도와 완전히 다른 해석이 되기 때문에
주의해야 할 필요가 있어요!
Hardly - 거의 안한다 (부정어)
Hardly 가 등장하게 되면 자동반사적으로 '뒤에 내용을 안 해!' 라고 생각하며
해석을 해야해요!
Hardly 뿐만 아니라
Seldom, scarcely, rarely 표현도
그냥 보기에는 긍정적인 표현으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부정적인 의미가 있답니다!
[예문]
There’s hardly any tea left.
차가 남아 있는 것이 거의 없다.
I can hardly keep my eyes open.
나는 (너무 졸려서) 눈을 제대로 뜨고 있을 수가 없다.
He is hardly likely to admit he was wrong.
그가 자신이 틀렸음을 전혀 인정할 것 같지가 않다.
[예문]
We can’t stop for coffee now, we’vehardly started.
지금 커피를 마시려고 쉴 수는 없어. 이제 막 일을 시작했잖아.
이런 혼란을 줄 수 있는 표현은 출제자가
미끼 오답을 항상 반대로 해석한 게 들어가 있도록 만드는 장치에요!
혼란을 줄 수 있는 표현들은 더욱
시험에 출제될 확률도 높겠죠?
이 시간에 헷갈릴 수 있는 Hardly 정확하게 알아보고
실수하지 않도록 해요!
--------------------------------------------------------------------
시험에 출제된 문항으로 정확하게 파악해 볼까요?
The importance of this can hardly be exaggerated, for whole new industries were emerging to exploit and (e) develop the leisure market, which was to become a huge source of consumer demand, employment, and profit. -2019학년도 수능
해석 : 이것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그것의 중요성은 과장될 수 없다). 신 사업들은 레져 시장을 발전시키 때문이고, 이는 소비자 수요, 고용, 이익에서 중요한 요소가 된다.
결국 여기서 과장될 수 없다는 뜻을 또한 자연스럽게 ‘아 결국 매우 중요하구나! 과장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라고 직관적으로 유연하게 해석할 수 있어야 해요. Hardly를 대충보고 부정어라 생각하지 못하면 ‘그것의 중요성은 과장되어 있구나!’라고 반대로 해석하게 되니 조심해야해요!
The obvious explanation of the correlation is that children tend to have much smaller feet than adults, and, because children acquire their vocabularies gradually as they grow older, it is hardly surprising that, on average, people with smaller feet have smaller vocabularies. -2010년 3월 평가원 모의고사
해석: 상관관계에 대한 예시로, 아이들은 어른보다 훨씬 작은 발을 가지고 있고, 아이들이 성장하면서 단어 수준이 높아지기 때문에, 보편적으로 발이 작은 사람이 낮은 단어 수준을 가진다고 생각하는 생각하는 것은 당연하다(=놀랍지 않다.)
‘전혀 놀랍지 않다’는 결국 ‘당연하게 생각한다.’라는 뜻으로 추가로 유연적으로 해석할 수 있어야겠죠?
The island is home to over 10 million people, most of whom are desperately poor and hardly in a position to be concerned with environmental conservation. -2012년 9월 평가원 모의고사
해석: 그 섬에는 100만 이상 사람들이 살고 있고, 그 거주자 대부부분은 엄청 가난하고 환경 보호에 관심이 있을 수 없는 상황이다.
일단, 앞으로 엄청 큰 숫자가 모의고사에서 나오면 해석하지 말고, ‘많은’으로 해석해주세요. 그렇게 해도 답을 고르는데 크게 지장이 없답니다.
그리고 선생님이 해석한 것처럼 직역보다는 빠르게 해석할 때 의미를 와닿을 수 있도록 유연적으로 해석해주시기를 바랍니다!
It is hardly ever done consciously and it almost always happens because of predictable, inherent differences between partners. - 2012년 3월 평가원 모의고사
해석: 그것은 절대 의식적으로 일어난다기보다 파트너 간 예측 가능하고 원래 가지고 있는 차이 때문에 거의 일어난다.
--------------------------------------------------------------------
모의고사, 수능에도 자주 출제된 hardly는
부정어로 생각을 못 하게 되면 의미가 180도 달라지는 어휘이다 보니
출제자들이 더욱 욕심내서 문항에 출제할 수 있다 보니
자주 출제가 되었어요!
이제 hardly 실수하지 않을 수 있겠죠?
헷갈리는 어휘일수록 수능에서 실수하지 않기 위해
더욱 자기 것으로 만들도록 해요!
오늘도 수험생 여러분 화이팅이에요 :)
#영어 #수학 #국어 #예체능 #후기 #사탐 #과탐 #노하우
[자탐연구서] 초등학생 공부 습관, 어떻게 시작할까
2달 전
722 조회
#영어 #수학 #국어 #사탐 #과탐 #노하우
[자탐연구서] 수능 1등급으로 이끄는 초중등 계획법
3달 전
953 조회
#수학 #노하우
[자탐연구서] 수학 선행vs심화 뭐가 더 중요할까
3달 전
883 조회
#영어 #노하우
[자탐연구서] 영어 실력의 첫 계단, 영단어 학습
3달 전
1932 조회
#국어 #노하우
[자탐연구서] 수능 국어의 씨앗, 어린 시절 독서 습관
4달 전
807 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