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비 고3은 본격적으로 아이들이 예민해지는 시기입니다. 특히 수능이나 면접이 다가오면 예민함이 극에 달하죠. 여기에 학부모의 걱정과 불안이 더해지면, 자칫 자녀와의 다툼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지금까지는 자녀가 학교생활을 열심히 하고 있는 것 같고, 내신 공부도 열심히 하면서 부산하게 지내니까, 수시나 정시로 상위권 대학에 입학할 수 있으리라는 막연한 기대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고3은 다릅니다. 그렇다면 학부모는 아이들에게 어떻게 대처하는 것이 현명할지 자탐연구소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1) 아이를 조정하려 들지 마세요
첫 번째로 드리고 싶은 말씀은 부모가 나서서 자녀의 모든 학습계획을 세우고 통제하려고 들지 말아야 한다는 사실입니다. 앞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요즘의 입시는 복잡하고 자주 변경되어 부모도 잘 모른다는 점을 인정해야 하고, 부모가 원하는 방향이 있더라도 아이가 거기에 맞추고 움직이지 않으면 아무 의미가 없습니다.
고등학생이면 슬슬 본인 미래를 걱정하기 시작하니, 그 고민이 시작되고 아이 스스로 바뀌려고 할 때 도와주면 됩니다. 아이가 원하는 것 중 부족한 부분을 지원해 주되, 아이가 아직 움직일 마음이 없다면 기다려 주는 것이 억지로 시키는 것보다 낫습니다.
2) 대신 중심을 잡아주세요
위에서 말했듯이 부모의 역할은 아이가 스스로 정한 목표로 가장 빠르게 도달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것입니다. 원서를 쓸 때, 학부모들은 다양한 채널을 통해 입시 정보를 수집합니다. 이 과정에서 부모님들은 입시 전문가가 아니기에 대부분 확신이 없어 의사결정이 자주 바뀌기도 합니다. 예를 들면, 아이가 원하는 학교와 학과를 쓰기에는 아슬아슬한 성적이 나온 상황입니다. 학과를 낮춰 같은 대학을 지원할지, 아니면 원하는 학과를 쓰되 하향 지원을 할지 고민 중입니다. 학교냐 전공이냐에 따라 부모님과 아이의 추구하는 방향이 다르다면 분명 서로 의견이 충돌할 것입니다.
하지만 컨설팅을 받을 때마다 의사결정이 바뀐다면 더욱 난관이 될 것입니다. 부모님 입장에서는 자료수집 중 겪는 시행착오에 불과하지만, 아이 입장에서는 수시로 지원 학교와 학과가 바뀌는 혼란스러운 상황이 됩니다. 부모님은 아이에게 그런 상황을 만들지 않고 중심을 잡을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합니다.
3) 안식처가 되어주세요
공부를 열심히 안 하는 것처럼 보여도 입시가 점점 가까워지면 대다수의 아이들은 발등에 불이 떨어져 열심히 하게 됩니다. 진즉에 열심히 했으면 좋겠으나 이미 다 지나간 일입니다. 수능날 문제 풀고 마킹하는 주체는 아이이므로 학부모가 대신해 줄 수 있는 일은 없습니다.
부모가 해줄 수 있는 것은 따뜻한 밥 차려주고, 아이가 힘들 때 기댈 수 있도록 보듬어주는 것입니다. 시험을 아무리 망쳐도 세상은 무너지지 않고, 너의 뒤에는 내가 있다. 우리 모두 부모님의 그 든든한 사랑을 바탕으로 이 험한 세상을 헤쳐나가고 있는 게 아닐까요?
#2025대입
2025학년도 수능 국어영역 해설 강의: 밑줄 긋기의 비밀
한 달 전
183 조회
#2025대입
2025 수능 미적분, 그 어려움의 끝을 보다
한 달 전
115 조회
#수시
수능 등급컷 완벽 분석: 당신의 전략은?
한 달 전
79 조회
#2025대입
2025 수능 대비, 과탐 문제 완벽 해설!
한 달 전
271 조회
#2025대입
2025학년도 수능 국어, 힐러문항 배제 이후의 새로운 방향!
한 달 전
136 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