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logo

#입시

[자탐 연구서] 예비 고1을 위한 선배의 조언 - 주관식 대비는 이렇게!!

  • 익명
  • 6달 전
  • 8.7k
  • 0
  • 0

3월 신학기를 앞두고 학생들의 준비가 한창입니. 자신의 부족한 점을 파악하고 스스로 해결책을 찾는 학생도 있는 반면, 아직 방향을 잡지 못한 학생도 습니. 중요한 것은 모든 성적의 근간은 내신에서 시작된다는 점입니. 따라서 지금은 새롭게 마주할 고등학교 시험의 유형을 먼저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 특히 2028학년도(현재의 예비 고1)부터 서술형과 토론형 유형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 따라서 오늘은 자탐연구소와 함께 주관식 대비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겠습니다.

 

 시험 - 무료 교육개 아이콘

 

1) 선생님의 힌트를 미리 파악하자

서술형 문제는 객관식 문제보다 개념을 깊이 이해하고 논리적으로 풀이하는 능력을 요구합니다. 서술형 문제를 통해 출제자는 개념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풀이 과정을 스스로 작성하는 것을 보고 싶어 합니다.


따라서 우리는 출제자인 학교 선생님께서 제공하시는 피드백이나 힌트를 잘 활용해야 합니다. 선생님께서는 학생들의 수준과 약점을 잘 알고 계십니다. 그렇기에 선생님께서 주시는 피드백이나 힌트는 시험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수업 시간이나 자습시간에 선생님께 질문을 하거나, 선생님께서 추천하시는 교재나 문제집을 참고하거나, 선생님께서 강조하시는 문제를 표시해두거나, 선생님께서 참고하시는 교재를 몰래 보는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곗죠ㅎㅎ. 특히 시험 3-4주 전부터는 더욱 수업을 집중해서 수강해야 합니다. 수업 중 선생님께서 채점기준, 감점 기준을 말씀하시는 경우도 많기 때문입니다!

 

 

2) 풀기 전에 모든 주관식 문제를 먼저 흝어보자

문제 중에서 어느 것이 더 중요한 문제인지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어려운 문제가 무엇인지 훑어보는 연습이 필요해요. 이때 어떤 문제에 어느 정도의 시간이 걸릴지 계산적으로 나누어 봐야 합니다. 방법은 간단합니다!!. 쉬운 문제부터 먼저 답을 쓰는 것이 좋고, 한 문제를 풀 때는 다른 문제는 신경 쓰지 않아야 합니다.

 

또한 문제의 답이 겹치지 않게 주의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 답을 쓰기 전 문제를 전체적으로 읽어보는 습관이 중요것이죠. 문제를 훑어본 후 답을 쓰기 전에 중요한 내용이나 개념을 빈칸에 몇 단어 정도로 간단하게 미리 써 본 뒤, 거기에 따라 답을 써 내려가는 것이 가장 효율적입니다. 특히 어떤 유형의 답이 요구되는지를 잘 이해해야 합니다. 가령, ˜을 비교하라/ ˜을 증명하라/ ˜을 기술하라 을 나열하라 등 구체적인 지시어를 이해하고 접근하는 방법이 답안 작성에 유리합니다.

 

 

3) 다고 무조건 좋은 것은 아니다

보통 주관식 문제를 풀 때, 학생들을 어떻게길게 적으려고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무조건 많이 적는다고 좋은 건 절대 아닙니다. 주어진 시간 안에 요점을 파악하여 가능한 많이 작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다만, 자신의 답을 쓰고 그에 따른 정확한 예를 덧붙이는 경우는 점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이때 깊이 있게 다루어야 할 부분은 문제의 답을 쓰고 난 후 나중에 더 쓸 경우를 대비하여 미리 약간의 빈칸을 남겨 놓는 것이 좋습니다.

 

한가지 팁을 더 드리자면, 시험 시간이 부족할 때에는 간단하게 요점만 1~2줄로 적어 제출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따라서 이를 위하여 남은 방학 동안 스스로 답을 찾는 연습에 집중하시기를 추천합니다.


#입시뉴스
post-mid-banner-189
post-mid-banner-190
  • 익명

    #입시

    #2025대입

    2025학년도 수능 국어영역 해설 강의: 밑줄 긋기의 비밀

    한 달 전

    159 조회

    #2025대입

    2025 수능 미적분, 그 어려움의 끝을 보다

    한 달 전

    115 조회

    #수시

    수능 등급컷 완벽 분석: 당신의 전략은?

    한 달 전

    79 조회

    #2025대입

    2025 수능 대비, 과탐 문제 완벽 해설!

    한 달 전

    271 조회

    #2025대입

    2025학년도 수능 국어, 힐러문항 배제 이후의 새로운 방향!

    한 달 전

    121 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