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학년도 대입이 정시 접수까지 마무리되면서 이제는 2026학년도 대입을 준비할 때입니다. 따라서 현재 예비고3 학생들의 경우 지금 수능 준비를 하고, 자신의 부족한 부분을 채우는 공부를 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당장 1달 남짓 앞으로 다가온 3월 개학과 고3 생활에 대해서도 염두에 둘 필요도 있을 거 같습니다.
지금 이 시점에서 1년의 주요 이벤트들(이라고 하면 결국 시험) 이 언제 있는지 파악을 하고, 그 사이사이 시점에 어떤 공부를 하고 어떤 과제를 하고 어떻게 시간을 보내야 할지 계획을 세우는 것이 효율적일 거 같습니다. 그럼 2025년 올해의 일정을 자탐과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2025년 모의고사 및 중간고사 일정]
1) 시험과 시험 사이의 시간이 중요한 이유
위의 일정을 보면 아시겠지만, 단순화해보면 시험(중간기말고사, 모의고사) 이 먼저 스팟으로 자리를 잡고 있고, 그 사이사이에 학교생활(수행평가, 생기부 채울 활동) 이 들어가게 됩니다. 1년의 시간을 놓고 생각해보면 그냥 1년의 학교 생활이지만, 이게 표로 정리를 해보고 이벤트 중심으로 생각을 해보면 그 구조는 일정합니다. 그래서 언제가 시험이고, 시험을 몇주전부터 어떻게 준비하고, 시험이 끝나고 다음 시험의 사이 시간에 어떤 것을 할 것인지 배치를 해보면 우리가 흔히 말하는 계획표를 작성해볼 수 있겠죠.
하지만 단순히 할일을 쭉 적어놓은게 아니라 시험이라는 이벤트를 가장 중심에 두고 그 사이에 어떤게 있고 어떻게 할 것인가를 생각해보면 1년을 어떻게 보내야 할지 그림이 머리속에 그려질 수 있을 것입니다.
2) 모의고사 활용은 어떻게?
모의고사를 치고 나면 가채점은 바로 하게 되지만, 정확한 성적과 등급이 적힌 성적표는 시험 후 3주 정도 있어야 확인이 가능합니다. 그래서 모의고사 성적을 바탕으로 어떠한 의사결정을 하려고 하는 분이 있다면, 성적표가 나오는 일정 기준으로 생각을 할 필요가 있습니다.
특히 수시원서를 쓰는 9월에, 9모는 원서쓰기 전에 쓰지만 9모 성적표가 나오기 전에 수시 원서접수를 해야 합니다. 즉, 수시 쓸때는 9모 가채점은 확인을 하고 의사결정에 참고는 하겠지만 6모 성적까지를 기준으로 대부분의 카드를 미리 정해놓고 최종 결정도 아마도 6모 기준으로 하게된다 라고 생각을 하시면 될 거 같습니다.
3) 학생부를 점검하고 주력 전형을 설정하자
이제 수시에서 어떤 전략을 세울지 고민해봅시다. 이를 위해 기본적으로 자신의 학생부를 점검해야 해요. 희망하는 대학에서 요구하는 수준을 충족할 만한 내신 성적인지, 활동이 부족하지는 않은지 등을 꼼꼼하게 살펴보는 과정이 매우 중요합니다. 또한 학생부에 기록된 내용을 통해 학업역량, 진로역량, 공동체역량 등 학생부종합전형의 주요 평가요소 중 어떤 역량을 보여줄 수 있을지 체크해봅시다!
자신의 학생부 경쟁력을 스스로 판단하기 어려울 경우, 학교 선생님을 통해 조언을 구하는 것이 좋습니다. 최근에는 많은 대학에서 학생부종합전형 가이드북을 배포하고 있으며, 교육청에서 발간하는 합격 사례집 등을 통해 다양한 사례들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이 자료들을 적극 활용해 보세요. 이러한 과정을 통해 수시 교과전형과 종합전형에서의 가능성을 타진해보고, 이후 어떤 전형을 공략하여 준비할지를 판단해야 합니다.
#2025대입
2025학년도 수능 국어영역 해설 강의: 밑줄 긋기의 비밀
한 달 전
183 조회
#2025대입
2025 수능 미적분, 그 어려움의 끝을 보다
한 달 전
134 조회
#수시
수능 등급컷 완벽 분석: 당신의 전략은?
한 달 전
98 조회
#2025대입
2025 수능 대비, 과탐 문제 완벽 해설!
한 달 전
286 조회
#2025대입
2025학년도 수능 국어, 힐러문항 배제 이후의 새로운 방향!
한 달 전
136 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