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logo

#입시

명확한 진로를 설정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

  • 익명
  • 7달 전
  • 1.4k
  • 0
  • 0

겨울방학이 시작되고, 어느덧 1월도 절반이 지났습니다. 중고등학생 구분 없이, 많은 학생들이 알차고 보람찬 방학을 불태우고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에 학생들이 무엇을 하고 싶어 하는지, 무엇을 좋아하는지 등 스스로에 대해 잘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 그렇게 시간이 흘러 대학 원서 접수가 다가오면 성적에 맞춰 학과를 선택하는 경우가 많고, 성인이 돼 진로에 대해 방황하는 경우가 많. 따라서 겨울방학을 활용하여 진로 및 전공 탐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늘은 자탐연구소와 함께 진로·전공 탐색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대학생 일러스트 이미지 - Freepik에서 무료 다운로드

 

1) 진로를 정하지 못한 학생들의 어려움

우리는 종종 꿈의 대학에 진학했음에도 불구하고, 입학 후 방황을 겪는 사례를 볼 수 있습니다. 특히 부모나 선생에 대한 깊은 원한을 가진 사례를 심심치 않게 찾아볼 수 있. 이런 경우, 이들의 원한은 일종의 배신감입니다. 청소년기 대부분 '이 시간만 참아라. 대학에 들어가기만 하면 여태까지 고생한 것을 보상받을 수 있어.' 라는 부모님이나 선생님의 말을 믿고 따라왔겠죠. 그러나 이들이 마주한 현실은 달랐습니다. 청소년기 때보다 더 치열한 경쟁이 기다리고 있것이죠.

 

이러한 학생들의 문제는 입시라는 첫 단추부터 스스로가 아닌 다른 이의 뜻대로 결정하면서, 진로나 직업을 주도적으로 탐색해나갈 다음 동력이 나오지 않는다는 입니다. 남들이 보기에는 '배부른 소리 하고 있어'라고 말할 수도 있지만 그 당사자한테는 되게 현실적이고, 심각한 고민입니다. 이것이 바로 자기주도적으로 진로를 설정하고 대비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가 되겠습니다.


 

2) 입시 준비와 진로 탐색 사이의 균형

결국 선택의 문제인 것 같습니다. 어느 쪽을 선택해도 기회비용은 발생합니다. 입시와 진로탐색 중 어느 한쪽에 집중한다는 것은 한국 사회에서 굉장한 용기가 필요하죠. 개인적으로는 이럴때 부모의 용단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예전에는 좋은 대학이 좋은 직장을 보장해줬기에 더 입시에 집중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그런 시대가 아닙니다. 꼭 상위권 대학을 나오지 않아도 저마다의 만족스러운 삶을 살아갈 수 있. , 상위권 대학교에 들어가더라도 끝나는 게 아니고 학점 경쟁, 취업 경쟁이 있다는 것을 인지해야 합니다. 이처럼 진로교육과 경력 개발의 구조가 바뀌었음을 인정하아이가 하고 싶은 것을 하게 해주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3) 자신의 적성이나 흥미를 모르는 경우, 진로 탐색을 시작하는 방법

청소년기에는 자기가 무엇을 좋아하는지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사실, 이 시기에는 자신이 무엇을 좋아하는지 잘 알지 못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현상이며, 오히려 이를 잘 아는 사람은 드문 경우입니다. 자신을 모른다는 부담을 느끼지 말고, 천천히 자신을 알아가는 과정이 중요합니다.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내가 무엇을 할 때 시간이 빠르게 갔는지' 생각해보는 것입니다. 본인이 흥미를 느끼는 일은 시간이 빨리 가는 경향이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어릴 적 꿈이 무엇이었는지를 떠올려보거나, 주로 구독하거나 팔로우하는 유튜버나 인플루언서를 보면, 무의식적으로 자신이 어떤 분야에 관심을 가졌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자신의 적성을 찾는 방법은 '어떤 일을 했을 때 힘들이지 않았고, 사람들이 칭찬했던 경험'을 떠올리는 것입니다. 이와 같은 경험을 통해 내가 어떤 결과물을 낼 때 자연스럽게 잘해왔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결국, 나의 흥미와 적성을 찾는 방법은 자신에 대해 많이 생각하고 되돌아보는 과정에서 발견할 수 있습니다.


#입시뉴스
post-mid-banner-189
post-mid-banner-190
  • 익명

    #입시

    #2025대입

    2025학년도 수능 국어영역 해설 강의: 밑줄 긋기의 비밀

    한 달 전

    159 조회

    #2025대입

    2025 수능 미적분, 그 어려움의 끝을 보다

    한 달 전

    115 조회

    #수시

    수능 등급컷 완벽 분석: 당신의 전략은?

    한 달 전

    79 조회

    #2025대입

    2025 수능 대비, 과탐 문제 완벽 해설!

    한 달 전

    271 조회

    #2025대입

    2025학년도 수능 국어, 힐러문항 배제 이후의 새로운 방향!

    한 달 전

    121 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