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2025년을 맞이하며 화학Ⅰ을 처음 공부하는 수험생들을 위해 목차와 각 단원별 난이도를 알아보겠습니다. 과탐 선택을 고민하는데에 있어서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화학1은 총 4개의 대단원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Ⅰ단원과 Ⅵ단원은 계산 위주의 단원(어려운 편)
Ⅱ단원과 Ⅲ단원은 개념 위주의 단원(쉬운 편)
단원이 많아 보이지만 실상 통합과학에서 배운 내용에 +@를 얹었을 뿐입니다. 그럼 각 단원별로 특징을 알아보겠습니다!
Ⅰ단원
1단원은 보통 5문항 정도가 출제되며, 화학과 인류 단원은 10초면 풀 수 있는 굉장히 간단한 문제가 출제됩니다. 문제는 화학의 언어에서 처음으로 화학의 양론 즉, 화학의 수식적 관계를 배우게 되는데, 이 부분은 수학과 연관성이 깊기에 전반적으로 출제 난이도가 높습니다. 특히 화학식량과 몰 부분을 많이 어려워합니다. 하지만 이 파트를 제대로 공부하지 않는다면, 양적 관계의 벽도 뚫어낼 수 없으므로, 정확하게 공부하고 넘어가야 합니다. 몰에 대한 이해를 우선적으로 해야 하고, 분자량과의 관계(n=w/M)를 잘 정리해야 1단원을 정복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처음 공부하는 수험생들은 우선 양적 관계에 대한 기본기만 확실하게 익히는 걸 목표로 한 후 추후에 최종적으로 한 번 더 공부해야 하는 단원입니다.
Ⅱ단원
2단원은 이론에 중점을 둔 단원으로 처음 배우는 개념들이 조금은 어려운 감이 있기에 가장 잠이 오는 단원입니다. 모의고사나 수능에서는 비중이 조금 적은 편입니다. 보통 3~4문항 정도가 출제되는 것 같습니다. 문제 자체는 크게 어려운 단원은 아니지만 마냥 쉽다고 말하기도 애매한 단원입니다.
원자의 구조 단원에서는 양성자 수, 중성자 수, 질량수와의 관계가 중요하고, 현대적 원자 모형과 전자 배치에서는 오비탈의 종류를 명확하게 알고 있어야 합니다. 또 여기서 양자수(주 양자수, 부 양자수, 자기 양자수)에 대한 정리가 되어 있어야 전자 배치와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문제 출제가 되어도 실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원소의 주기적 성질에서는 원자 반지름, 이온 반지름, 유효 핵전하, 이온화 에너지 각각에서의 포인트를 알고 있어야 합니다. 같은 족과 주기에서의 주기성은 당연히 암기해야 합니다. 또한 원자 반지름과 이온 반지름에 단골로 등장하는 N, O, F, Na, Mg, Al의 순서는 외우고 있는 것이 시간 단축에 도움이 됩니다.
Ⅲ단원
3단원은 출제되는 문항은 많지만 1~4단원 중 가장 쉬운 단원입니다. 화학결합은 어느 정도의 개념만 숙지하면 기출 문항에서는 개념적으로 깊게 물어보지 않기에 손쉽게 풀 수 있는 문항으로 이루어져있습니다. 분자의 구조와 성질에서는 결합각과 분자 모양, 분자를 구성하는 모든 원자가 동일 평면에 존재하는지에 관한 판단이 자유롭게 되어야 합니다. 구조를 자유롭게 그릴 수 있어야 하며, 공유 전자쌍 수와 비공유 전자쌍 수에 관한 판단을 빠르게 할 수 있어야 합니다. 또한 수험생들이 이 단원에서 가장 많이 실수하는 부분 중 하나인 결합의 극성과 분자의 극성을 헷갈리지 않도록 확실하게 정리해야 합니다.
Ⅵ단원
화학1에서 가장 많은 문항이 출제되는 단원입니다. 흔히, 4단원 중화반응이 굉장히 어렵다고들 겁먹지만 최근 난이도가 조금 내려간 추세이며 그래봐야 킬러 문항은 1문항이고 준킬러 문항과 쉬운 문항이 고루 분포된 단원이기에 공부하는 만큼 점수를 얻어 갈 수 있는 단원입니다.
동적 평형은 평형의 의미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증발 속도와 응축 속도를 비교하는 것이 포인트입니다. 또한 평형까지 액체의 양과 기체의 양이 어떻게 되는지에 관해 판단할 수 있어야 합니다. 다음으로 중화 적정에서는 산이 내놓는 H+의 양과 염기가 내놓는 OH-의 양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 중화 적정 또한 농도 계산이 자유롭게 되어야 합니다. 마지막 산화 환원 반응에서는 산화수 우선순위 규칙을 꼭 알고 있어야 하며, 이를 이용한 계수 판단 문제가 출제됩니다. 산화수 규칙을 명확하게 외워두면 계수도 어렵지 않게 구할 수 있습니다. 미지수가 등장하면 고난도 문제라고 느껴질 수 있지만, 이동한 전자 수가 같도록 ‘표현’해야 한다는 것에 초점을 두면 똑같이 풀어낼 수 있습니다.
#2025대입
2025학년도 수능 국어영역 해설 강의: 밑줄 긋기의 비밀
한 달 전
183 조회
#2025대입
2025 수능 미적분, 그 어려움의 끝을 보다
한 달 전
115 조회
#수시
수능 등급컷 완벽 분석: 당신의 전략은?
한 달 전
98 조회
#2025대입
2025 수능 대비, 과탐 문제 완벽 해설!
한 달 전
286 조회
#2025대입
2025학년도 수능 국어, 힐러문항 배제 이후의 새로운 방향!
한 달 전
136 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