곧 수능 결과가 나옵니다! 혹시나 정시 생각하시는 분들 중에 아직까지 아무런 계획과 지식이 없는 분들은 이제는 준비해야할 때입니다! 수능 시험이 끝나면 많은 수험생이 긴장을 풀 틈도 없이 정시 지원 전략 수립이라는 또 다른 과제를 마주합니다. 특히 가채점 결과를 바탕으로 한 지원 가능 대학 리스트업은 이후 전략의 출발점이 되므로 꼼꼼히 준비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성적 발표 후 시간을 절약하고, 보다 명확한 계획을 세울 수 있습니다. 이번 칼럼에서는 수능 가채점 결과를 활용해 정시모집 전략을 효과적으로 수립하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백분위 점수로 지원 가능 대학 탐색하기
수능 가채점을 완료했다면 자신의 원점수를 기준으로 영역별 백분위 점수를 파악하는 것이 첫 번째 단계입니다. 백분위 점수는 자신의 상대적 위치를 가늠할 수 있는 중요한 척도이기 때문에 이를 토대로 300점 만점의 백분위 총점을 계산해야 합니다. 이후, 전년도 입시 결과 데이터를 활용해 자신이 지원 가능한 대학과 학과의 범위를 대략적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참고 자료로는 "대학 어디가"와 각 대학 입학처에서 제공하는 자료가 있으며, 이를 통해 현실적인 지원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표준점수와 백분위의 차이를 이해하라
상위권 대학의 경우 주로 표준점수를 반영하기 때문에 백분위 총점만으로는 정확한 경쟁력을 평가하기 어렵습니다. 같은 백분위를 가진 학생이라도 각 영역의 점수 분포에 따라 표준점수 총점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예컨대 특정 영역의 표준점수 최고점이 상대적으로 높았던 해라면, 그 영역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학생이 유리한 위치를 차지하게 됩니다.
따라서 백분위와 표준점수의 차이를 이해하고 영역별 점수를 함께 고려해야 정확한 판단이 가능합니다. 특히, 표준점수 차이가 큰 해에는 이러한 요소가 합격 가능성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더욱 세밀한 분석이 요구됩니다.
영역별 반영 비율과 학과 특성을 고려하기
모든 대학이 동일한 방식으로 점수를 반영하는 것은 아닙니다. 대학별로 영역별 반영 비율이나 활용 방식이 다를 수 있으므로 학과별 특성도 함께 분석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국어와 수학의 반영 비율이 비슷한 학과에서는 두 영역의 균형이 중요하지만, 특정 영역의 비중이 높은 학과에서는 해당 영역의 성적이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서울시립대의 사례를 보면, 국어국문학과는 국어 점수가 우수한 학생들에게 유리한 반면, 경영학부는 수학 성적이 더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이러한 학과별 유·불리를 가채점 단계에서부터 계산해 본다면 최적의 지원 전략을 수립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기반으로 전략의 틀을 만들어라
곧 시험결과가 나옵니다. 가채점은 어디까지나 예상치일 뿐, 실제 결과와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가채점을 기반으로 대학과 학과의 범위를 미리 설정해 두면 최종 성적 발표 후 빠르게 수정·보완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상향, 적정, 안정 지원의 균형을 고려해 다양한 선택지를 준비해 두는 것도 중요한 포인트입니다.
결국, 가채점을 활용한 정시 전략 수립은 전체 계획의 초석을 다지는 과정이라 할 수 있습니다. 12월 성적표 발표 이후에는 이 토대를 바탕으로 좀 더 세밀한 계획을 세우고, 다양한 변수를 고려한 결정을 내릴 수 있을 것입니다. 조금 더 쉬고 싶더라도 꾹 참고 결과 나오기 전에 한번 공부하시길 바랍니다!
#2025대입
2025학년도 수능 국어영역 해설 강의: 밑줄 긋기의 비밀
한 달 전
183 조회
#2025대입
2025 수능 미적분, 그 어려움의 끝을 보다
한 달 전
115 조회
#수시
수능 등급컷 완벽 분석: 당신의 전략은?
한 달 전
79 조회
#2025대입
2025 수능 대비, 과탐 문제 완벽 해설!
한 달 전
271 조회
#2025대입
2025학년도 수능 국어, 힐러문항 배제 이후의 새로운 방향!
한 달 전
121 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