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logo

자유게시판

[자탐 연구서] 학원만 계속 돌린다고 해서 의미가 없는 이유

  • 익명
  • 9달 전
  • 1.9k
  • 0
  • 0

회원가입 후 전체 콘텐츠를 볼 수 있습니다.

이 게시글은 자탐 회원만 읽을 수 있습니다.

처음 자탐에 방문하셨다면, 회원가입 후 이 게시글을 읽을 수 있습니다.

 수능 경쟁이 심화되고 맞벌이 가정이 늘면서 자녀의 시간 관리를 위해 사교육에 의존하는 가정이 많아지고, 이에 따라 주요 과목뿐 아니라 예체능과 체험학습의 수요도 함께 증가하는 상황입니다. 지난해 초··고등학생 사교육비가 27조 원을 넘으며 전년 대비 4.5% 증가했죠. 하지만 지나친 사교육 의존은 자녀에게 오히려 악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오늘은 자탐연구소와 함께 그 이유와 해결방안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학교 - 무료 건물개 아이콘

 

과도한 사교육의 악영향

과도한 사교육은 아이의 창의성 발달과 학습 능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정해진 틀에 맞춰 암기와 반복 학습에만 집중하게 되면 아이들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거나 새로운 아이디어를 탐구하는 능력을 점차 잃게 됩니다. 특히 주입식 교육에 길들여진 아이들은 실패를 두려워하고 혼자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피하게 되며, 이로 인해 창의적 사고가 억제될 수 있습니다.

 

또한 학원에서 정해주는 틀에만 맞추어 공부하기 때문에 학습에 대한 흥미가 줄어들고 스스로 학습계획을 수립하는 능력도 약화되어, 장기적으로는 학습 성과에 오히려 안좋은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아이가 스스로 성장하고 사고하는 힘이 없어집니다.

 

하지만 현재 대한민국의 교육과정에서 사교육을 시키지 않고 좋은 성과를 내기란 정말 어려울 것입니다. 그렇다면 아이의 최소한의 사고하는 힘을 지켜줄 수 있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독서]

아이가 스스로 공부할 수 있는 기본기를 갖추기 위해서는 꾸준한 독서가 필수입니다. 책을 읽어야 독해력과 사고력이 생기고 집중력이 발달합니다. 꾸준한 독서는 성실성도 키워줍니다. 당장의 성적 향상을 위해 수업 진도를 따라가기도 벅찬 아이를 학원에 보내는 학부모가 많습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성적은 오르지 않고 아이는 공부에서 더욱 멀어지게 됩니다. 이러한 경우는 독서량이 부족해 아이의 기본기가 아예 형성되지 않았기 떄문입니다. 책을 읽어본 적이 없는 학생이 사고력이나 독해력이 뛰어나기를 기대하기는 어렵습니다. 교과서의 문장조차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채 교실에 앉아 수업을 들어야 하는 학생에게는 그 행위 자체가 고역입니다.

 

따라서 독서는 모든 공부의 가장 중요한 기반이 됩니다. 처음에는 자녀가 관심 있는 분야의 쉬운 소설책부터 읽기 시작하는 것이 좋으며, 이후 점차 깊이와 범위를 넓혀가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자기주도학습]

자기주도학습은 환경과 상황이 바뀌어도 학습 흐름을 놓치지 않고 성과를 낼 수 있게 하는 원동력이자 중요한 학습 역량입니다. 이러한 자기주도학습이 중요하다는 건 익히 들어서 알지만, ‘자기주도학습 능력이 필요한지에 대해서는 의외로 많은 학부모님들은 속 시원히 답을 못합니다.


아래 사례를 보며 학습 유형의 문제점을 짚어 보고, 자기주도학습 능력이 필요한 궁극적인 이유를 생각해 보겠습니다.

 

-사례 1

아이가 중학교 3학년입니다. 초등학교 때는 공부를 곧잘 한다고 생각했는데, 중학교에 와서는 공부와 점점 멀어지는 것 같아 고민입니다. 중학교에서 처음 본 시험 성적은 나쁘지 않았는데, 학년이 올라갈수록 성적이 자꾸 떨어지네요. 어려서부터 학원을 너무 많이 다닌 탓인지, 아이가 학원을 안 가면 공부를 하나도 안 합니다. 혼자서는 무엇을, 어떻게 공부해야 하는지 방법조차 모르는 것 같아 답답하기만 합니다.”

 

-사례 2

초등학교 5학년 학부모입니다. 아이가 이제 고학년이고, 저도 워킹맘이다 보니 아이 공부를 일일이 다 봐 주지 못할 때가 많은데요. 아이가 혼자서는 도통 공부를 안 하려고 해서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어요. 공부 시간표를 짜고, 문제집을 고르고, 공부할 범위를 정해 주는 것도 여전히 늘 제 몫입니다. ·고등학교에 가면 결국 혼자 공부를 해야 하는데, 그러려면 공부습관을 어떻게 고쳐 줘야 할까요?”

 

혹시 두 가지 사례를 보면서 우리 집 이야기 아니야?’라고 생각하지는 않으셨나요? 요즘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유형들로,  두 가지 사례의 공통점은 모두 학습자가 수동적이라는 점입니다누군가 시켜서하는 공부에 길들여진 아이는 어느 시점이 되면 한계에 부딪히기 마련입니다. 학년이 올라갈수록 많아지는 학습량에 적응하지 못하고, 혼자서 학습 계획을 짜고 공부를 해야 할 때 그 방법을 몰라 헤매게 되는 것이지요. 초등학교 때는 우등생이었는데 중·고등학교에 가서 공부에 완전히 흥미를 잃는 대부분의 아이가 여기에 해당합니다.



반면에, 스스로 목표를 설정하고 자기만의 학습 계획을 세워 공부하는 아이는 누가 시키지 않아도 동기부여가 충분하기 때문에 더 오래, 꾸준히 학업에 매진할 수 있습니다. 설령 당장의 성과가 좋지 않다고 해도 그대로 좌절하여 공부를 포기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를 점검하고 해결책을 찾음으로써 다음 학습을 이어 갑니다. 이처럼 자기주도학습 능력이 필요한 이유는 학습적 측면에서도 중요하지만, 보다 궁극적으로는 자기 삶에 주체성을 가진 사람으로 성장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자녀
post-mid-banner-189
post-mid-banner-190
  • 익명

    자유게시판

    #자녀

    한쪽 어깨만 메는 대학생 아들… 괜찮은 백팩 추천 좀요ㅠ

    2달 전

    568 조회

    #가족

    13년 만에 다시 만난 친구 가족… 마음이 따뜻해졌어요

    2달 전

    208 조회

    #질문있어요

    국어 실전 훈련용, 대형 도서관 어디가 괜찮을까요?

    2달 전

    211 조회

    #질문있어요

    삼수 중인데 또 국어 때문에 무너졌어요… 인문논술 도움 될까요?

    2달 전

    164 조회

    #질문있어요 #자녀

    수학 3초→2등급 만들고 싶은데, 과외·대형 전환 어떨까요?

    2달 전

    199 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