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가입 후 전체 콘텐츠를 볼 수 있습니다.
이 게시글은 자탐 회원만 읽을 수 있습니다.
처음
자탐에 방문하셨다면, 회원가입 후 이 게시글을 읽을 수 있습니다.
2028 교육과정 개편안이 발표되면서 많은 학생들과 학부모들이 고등학교 진학에 대해 고민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중학교 2학년 학생들과 그 이하 학년의 학생들은 변화된 교육과정이 어떤 영향을 미칠지 궁금해하고 있습니다. 이번 개편안은 특목고와 자사고에 유리할 것이라는 의견이 많습니다.
이번 개편안의 핵심은 내신 등급제가 9등급에서 5등급제로 바뀌었다는 점입니다. 이는 학생들이 내신 등급을 받는 것이 상대적으로 수월해졌다는 의미입니다. 과거에는 자사고나 특목고에 진학하면 4, 5등급을 받을까 봐 망설였지만, 이제는 1, 2등급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가 생기면서 지원이 늘어날 것으로 보입니다.
대학 입시에서 내신 등급은 매우 중요합니다. 자사고와 특목고 학생들이 1등급을 받을 경우 대학 진학에 유리할 수 있습니다. 반면, 일반고에서 1등급을 받은 학생들은 대학에서 그 성적의 신뢰성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이는 학생부종합전형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학생부종합전형에서는 명문고의 활동을 잘 챙겨주는 학교들이 유리한데, 자사고와 특목고가 더 유리하다고 하려면 학종의 비율이 늘어나야 합니다. 그러나 정시가 40%로 묶여 있어 학종이 늘 가능성은 적습니다.
정시는 과목의 변동만 있을 뿐 크게 달라지지 않았습니다. 평가원이 변별력을 낼 수 있느냐에 따라 대학들이 조치를 취할 것입니다. 수능의 변별력이 없다면 대학들은 다른 방법을 고려할 것입니다. 정시는 준비를 잘하는 학교가 유리하며, 강남 지역의 학교들이 정시에 강한 이유도 이 때문입니다.
교과에서는 명문고들이 유리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2, 3등급 학생들이 1등급까지 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수능 최저가 높아지면 명문고가 유리해질 가능성이 큽니다. 외고나 자사고 학생들이 수능 준비를 잘하고, 완화된 내신에서 정시로 들어올 경우 일반고 학생들은 수능 최저를 맞추지 못해 떨어질 가능성이 큽니다.
내신 등급제는 학생들의 부담을 줄이고 경쟁을 덜 하도록 개편되었습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다른 준비를 더 많이 해야 하는 상황이 되었습니다. 내신을 버릴 수 없고, 상대평가로 1등급에서 5등급으로 나뉘지만, 대학에서는 원준수를 통해 학생의 성적을 볼 수 있습니다. 일반고에서는 2등급이 되면 서울 소재 대학 진학이 힘들어지는 것이 현실입니다.
고등학교 진학에 있어서는 학생의 성향에 따라 학교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문과 성향이 강하면 외고를, 수학과 전 과목을 잘 관리할 수 있으면 자사고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중학교 때 A를 못 받았다면 일반고에서 착실히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명문고에 가든 일반고에 가든, 중요한 것은 환경에 맞춰 최선을 다하는 것입니다.
교육계에서는 자사고와 특목고가 변화에 빠르게 대응하는 반면, 일반고도 변화에 맞춰 빠르게 대응해야 한다는 의견이 있습니다. 학생과 학교 모두 변화에 맞춰 준비하고, 교육의 질을 개선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