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대학 입시 막바지를 준비하는 모든 학부모님들! 대학 입시를 준비하는 학생들에게는 입시용어가 익숙할 테지만 학부모님들께는 조금 낯설고 어렵게 느껴질 수 있는데요. 아이의 원서 접수 스트레스 고민을 덜어주고 소통하기 위해 학부모님들께서도 입시용어를 알아두셔야 합니다. 또한 동일한 수능 성적이지만, 지원하는 대학과 학과에 따라서 성적을 적용하는 방식이 달라지기 때문에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야 하기도 해요. 그래서 효과적인 정시 지원을 위해서는 다소 생소할 수 있는 정시 관련 용어를 미리 알아두는 것이 유리하기에 수험생에게 꼭 필요한 정시 용어를 정리해보았습니다.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1) 수능 성적 관련 용어
정시 지원의 핵심, 수능 성적을 분석하기 위해 알아야 할 입시용어 3가지는 백분위, 표준점수, 등급입니다.
- 표준점수: 표준 점수는 수험자의 상대적인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점수입니다. 아이가 수능 시험에서 획득한 원점수가 정규분포의 평균으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 알 수 있는 점수로, 시험의 난이도 및 선택과목에 따라 표준점수는 다르게 나타납니다. 그 해의 수능 시험이 어렵게 출제되었다면 표준점수는 높게 산출됩니다.
- 백분위: 백분위는 영역별 응시자 수를 100명으로 가정했을 때, 내 표준점수가 상위 몇 퍼센트에 해당하는지 확인하기 위한 수치입니다. 예를 들어 자신의 표준점수가 110점이고 백분위가 95%라면, 표준점수가 같거나 자신보다 표준점수가 낮은 사람이 100명 중 95명이라는 뜻으로 상위 5%에 있다는 뜻입니다.
- 등급: 등급은 특정 백분위 구간에 따라 1~9등급까지 부여됩니다. 1등급은 상위 4% 이내, 2등급은 상위 4~11%, 3등급은 상위 11~23%, 4등급 상위 23~40% 등으로 정해진 비율에 따라 등급이 나누어집니다. 영어와 한국사는 원점수를 기준으로 등급을 부여하는데, 영어는 90점 이상 1등급, 80~89점은 2등급, 한국사는 40점 이상 1등급, 35~39점은 2등급에 해당합니다. 앞서 말씀드린 수시 논술 전형과 같이 대학교 전형별로 수능에서 최저로 충족해야 하는 등급 기준이 있을 수 있으므로 반드시 체크해야 합니다.
2) 원서 접수 관련 용어
다음으로 정시 원서 접수와 관련된 입시용어를 알아보겠습니다. 정시 모집은 수능 성적 발표 이후 원서 접수가 시작됩니다. 모집군별로 지원 가능한 대학이 다르게 분포되어 있고, 모집군에 따라 학생부를 반영하는 대학도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먼저 수시와 가장 큰 특징인 모집군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대입 정시는 가군, 나군, 다군 3가지 모집군으로 나누어 신입생을 선발합니다. 군별로 1개의 대학 및 모집단위에 지원할 수 있기 때문에 총 3번 지원 가능하고, 정시 가나다군은 접수 기간이 다르기 때문에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가군과 나군에 비해 다군에서 신입생을 선발하는 대학 수가 적고, 가군과 나군에 학생들의 선호도가 높은 대학이 몰려 있기 때문에 학생의 수능 성적에 따라 전략적인 지원이 필요합니다.
이밖에도 몇가지 꼭 알아야하는 용어들이 있는데요!
- 수시 이월 인원: 수시에서는 최대 6회까지 지원할 수 있기 때문에 여러 대학에 동시에 합격한 경우 그중 한 곳에만 등록하고 나머지는 등록을 포기해야 합니다. 이로 인해 대학마다 수시 모집 인원을 모두 선발하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대학들은 해당 인원을 정시로 이월하여 선발하게 됩니다. 이월 인원의 규모에 따라 정시 입시 결과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최종 정시 선발 인원을 확인한 후 지원을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올해는 12월 27일에 수시 미등록 충원 등록이 마감되기 때문에, 12월 28일에 수시 이월 인원이 확정되어 각 대학 홈페이지에 안내될 예정입니다.
- 환산점수: 수능 성적표에 기재된 표준점수, 백분위, 등급을 바탕으로 대학은 학교가 설정한 과목별 가중치에 따라 환산점수를 산출합니다. 대학별로 중요하게 생각하는 영역에 따라 과목별 가중치가 다르기 때문에 수능 성적은 고정되어 있지만 대학별 환산점수는 다르게 계산됩니다. 대학별 환산점수는 진학사, 유웨이와 같은 대입 원서 접수 웹사이트에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어떤 과목의 성적이 높은지, 대학별 환산점수를 계산했을 때 어느 대학에서 유리한 점수가 되는지 확인하고 가군, 나군, 다군에 지원해야 합니다.
정시 합격을 위해서는 각 대학의 선발 방식과 수능 활용 지표 등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필수입니다. 입시 용어와 개념을 제대로 파악하여 자신에게 유리한 지원 전략을 세우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죠. 정시의 핵심인 수능 성적 분석에 필요한 용어를 이해하고 이를 토대로 자신에게 유리한 전형을 고민해 보시기 바랍니다. 성공적인 대학 입시를 위해 여러분의 도전을 자녀탐구연구소가 응원합니다!
#2025대입
2025학년도 수능 국어영역 해설 강의: 밑줄 긋기의 비밀
한 달 전
159 조회
#2025대입
2025 수능 미적분, 그 어려움의 끝을 보다
한 달 전
115 조회
#수시
수능 등급컷 완벽 분석: 당신의 전략은?
한 달 전
79 조회
#2025대입
2025 수능 대비, 과탐 문제 완벽 해설!
한 달 전
271 조회
#2025대입
2025학년도 수능 국어, 힐러문항 배제 이후의 새로운 방향!
한 달 전
121 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