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 년 전만 해도 논술 전형이 폐지될 것이라는 이야기가 많았지만, 오히려 현재 논술 전형은 확대되고 있으며 그 경쟁률도 해마다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특히, 아주대 약학과는 무려 882:1의 경쟁률을 기록할 정도로 치열합니다. 내신 성적이나 학생부 관리에 자신이 부족하더라도 수학 등 특정 과목에 강점이 있고 실력적으로 자신이 있다면, 논술 전형에 도전해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다만, 무작정 지원하기보다는 해당 대학의 기출문제나 모의 논술을 반드시 풀어보며 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본인만의 논술 답안을 완성하는 경험을 쌓아야 합니다.
2025학년도 논술 전형 경쟁률은 평균 42.54:1로, 4년 연속 상승세를 기록했습니다. 전국 42개 대학에서 논술 전형을 통해 1만 2210명을 모집하는데, 총 51만 9364명이 지원하면서 경쟁률이 높아졌습니다. 2022학년도에는 37.17:1, 2023학년도에는 39.14:1, 2024학년도에는 41.92:1로 매년 경쟁률이 꾸준히 상승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추세는 매년 N수생이 증가하는 점과 관련이 깊습니다. 내신 성적의 비중이 큰 교과 전형이나 학생부 종합 전형과 달리, 논술 전형은 수능 최저 학력 기준 충족 여부와 논술고사 성적에 따라 합격 여부가 결정되기 때문에 N수생들이 논술 전형을 주요 타깃으로 삼고 있습니다. 특히, 올해는 6개 대학이 논술고사 반영 비율을 확대하면서 논술의 중요성이 더욱 커진 것도 경쟁률 상승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입니다.
◆ 논술전형 경쟁률 분석 방법
논술전형은 다른 전형에 비해 경쟁률이 매우 높게 형성됩니다. 학생부 종합전형이나 교과전형은 학생부 성적이 미흡할 경우 지원을 망설이게 되는 반면, 논술전형은 논술고사 성적이 당락을 좌우하기 때문에 '역전'의 가능성이 큽니다. 물론 수능 최저 학력 기준이라는 변수가 있지만, 내신 관리가 부족한 수험생들에게는 여전히 논술전형이 수시에서 유일한 돌파구로 여겨집니다. 특히 수능에 강점을 가진 N수생들에게는 가장 적합한 수시 전형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논술전형은 최초 경쟁률과 실질 경쟁률 사이에 큰 차이가 있는 전형입니다. 발표되는 경쟁률은 최초 경쟁률로, 이는 단순히 지원 인원만을 반영한 수치입니다. 그러나 논술고사 이후 수능 성적이 발표되면, 수능 최저 학력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인원과 논술고사에 결시한 인원을 제외하면서 경쟁률은 크게 낮아집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계산된 경쟁률을 실질 경쟁률이라고 하며, 보통 최초 경쟁률의 절반 정도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42.54 : 1
올해 수시에서 논술전형을 운영한 42개 대학의 논술전형 평균 경쟁률은 42.54대 1로, 1만 2210명을 모집하는데 51만 9364명이 지원했습니다. 이는 지난해 1만 1348명 모집에 47만 5688명이 지원하며 기록한 41.92대 1보다 상승한 수치입니다. 논술전형의 경쟁률은 최근 4년간 꾸준히 상승세를 이어오고 있습니다. 2022학년도에는 36개교 기준 37.17대 1, 2023학년도에는 37개교 기준 39.14대 1, 2024학년도에는 38개교 기준 41.92대 1을 기록하며, 올해 2025학년도에는 42개교에서 42.54대 1을 기록했습니다.
전문가들은 N수생 증가가 논술전형 경쟁률 상승의 주요 요인이라고 분석합니다. 학생부 종합전형이나 교과전형은 학생부의 영향이 크기 때문에 N수생이 큰 이점을 보기 어렵지만, 논술전형은 논술고사가 당락을 결정짓는 구조로 N수생들이 재학생보다 유리할 수 있습니다. 특히, 자연계 논술은 수리논술이 많아 별다른 준비가 필요하지 않다는 인식이 있어 의약계열 논술을 준비하는 N수생들이 많습니다. 올해는 논술 반영 비율이 확대되고, 수능 최저에서 필수 응시 과목이 폐지되면서 지원 부담이 줄어든 것도 한몫했습니다. 한국외대, 가천대, 고려대(세종) 등이 교과 반영을 폐지하고 논술 100% 선발로 전환했으며, 가톨릭대, 성신여대, 숭실대는 논술 반영 비율을 늘렸습니다. 또한, 건국대, 경희대, 동국대, 부산대, 세종대, 숙명여대, 숭실대, 아주대, 이화여대, 인하대, 중앙대, 한국항공대 등 12개 대학이 수능 필수 응시 과목을 폐지해 N수생들의 논술전형 지원이 더 활발해졌습니다.
#2025대입
2025학년도 수능 국어영역 해설 강의: 밑줄 긋기의 비밀
한 달 전
159 조회
#2025대입
2025 수능 미적분, 그 어려움의 끝을 보다
한 달 전
115 조회
#수시
수능 등급컷 완벽 분석: 당신의 전략은?
한 달 전
79 조회
#2025대입
2025 수능 대비, 과탐 문제 완벽 해설!
한 달 전
271 조회
#2025대입
2025학년도 수능 국어, 힐러문항 배제 이후의 새로운 방향!
한 달 전
121 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