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logo

#입시

자유전공학부, 일반고에게 유리하려면 이렇게 해보세요!

  • 익명
  • 일 년 전
  • 1.2k
  • 0
  • 5

'자유전공학부(무전공)'에 대해 말씀드려볼까 합니다.



많은 분들이 '의대 증원'에 눈이 쏠려


무전공에 대해서는 관심이

많이 줄어든 상태입니다만...



의예과를 희망하시는 게 아니라면,



무전공이 '더' 중요할 수 있습니다.



이유는 간단합니다.



'10배' 넘는 인원이 늘어났기 때문입니다.



인원 변동 = 입시 변화인데,



의대 증원 = 1500명


무전공 확대 = 28000명



단순 산술로만 보아도

10배가 넘게 중요한 사안입니다.



이때, 일반고 학생들의 경우 메디컬보다는 이공/인문계열 지원이
비율상 높기 때문에, 더더욱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습니다.



그러니, 이 글을 '집중'해서 읽으시기 바랍니다.



미리 대비를 해두셔야, 휩쓸리지 않고 차분하게 합격률을 높이실 수 있으니까요.



자유전공학부?

'이것'만 아시면 됩니다.



여러분이,
굳이 무전공이 늘어난 '배경'까지 알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아셔야 할 것은 딱 2가지뿐입니다.



1) 자유전공학부가 무엇이고


2) 일반고에게는 어떤 변화가 있는지



하나씩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1) 자유전공학부란?



쉽게 이야기하면,



입학 후 대학에서 정한 커리큘럼을 마치면



2학년 때부터 본인의 전공/계열을 선택하는 학과입니다.

이름 그대로 '자율적'으로 학과를 선택하는 개념이죠.



다만, 모든 학교가 이렇게 운영할 수는 없기 때문에



크게 2가지 형태로 나뉘어져

운영 중입니다.



간단하게 설명하면,



1) '진짜' 무전공 - 모든 전공 선택 가능

(의대, 사범대 등의 특수 학과 별도)


2) '반' 무전공 - 계열/단과대 내에서만 선택 가능



따라서, 1번의 경우
정말 '무전공' 그대로의 인재상(능동성+학업역량 - 아래 참고)이 중요할 확률이 높고



2번의 경우, 계열/단과대 인재상이 중요할 확률이 높습니다.



2) 일반고에게 중요한 점은?



결국 '무전공'의 선발 인원을 늘린다는 것은



다른 학과에서 인원을 '가져온다'는 이야기입니다.



학교가 더 '커지지' 않는 이상 수용할 수 있는 인원은 정해져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무전공의 특성상 결국 '학업역량'을 중요하게 볼 수밖에 없습니다.



진로 역량을 중요하게 볼 수는 없기에



1) 공동체


2) 학업역량



으로 선발을 해야 하는데,
상위권 학교일수록 2번을 중요시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교과' 전형에서 상당히 많은 인원이 갈 것으로 보이는데요.



즉, 학종에서 인원이 '줄어들기' 때문에 생기부의 영향력이 더욱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



정리하면,



1) 교과 전형에서 많이 선발한다


2) 학종 인원이 감축되기에, 생기부의 중요성이 커진다


(학종으로 지원하려는 학생들은 정해져 있기 때문에)



일반고가 합격률을 높이려면



결국 무전공 '자율적'으로 학과를 선택하는 곳입니다.



그렇다면, 대학 입장에서는 크게 1가지가 중요할 수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1) 능동성


2) 학업역량



을 중요하게 생각할 수밖에 없습니다.



특히나, 상위권 대학일수록 '학업역량'을 볼 수밖에 없습니다.



공부를 열심히 한다


= 학업역량이 뛰어나다


= 적극적으로 공부를 할 것이다



라는 계산이 되기 때문이죠.



1) 무전공을 준비 중이라면



교과의 경우,

내신이 가장 중요하니



따로 언급은 드리지 않겠습니다.



학종의 경우,



결국 앞서 말씀드린 학업역량 + 능동성이 생기부의 '키'입니다.




해당 부분을 위주로 생기부를 구성하시기 바랍니다.




2) 일반 학과/계열을 준비 중이라면



앞서 말씀드렸듯이, 교과로 많은 인원이 이동했기 때문에



학생부의 경쟁률이 '심화될' 것이라 예상됩니다.



이럴 경우, 결국 중요한 것은 2가지입니다.



  • 내신


  • 생기부



다만, 생기부를 어떻게 준비해야 할지 헷갈리실 것 같은데요.


'양질'의 정보를 토대로 전략을 구축하셔야 합니다.



앞서 말씀드린 부분들을 잘 숙지하셔서 '정확하게' 입시를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2025대입
#2026대입
#수시
#재수
post-mid-banner-189
post-mid-banner-190
  • 익명

    #입시

    #2025대입

    2025학년도 수능 국어영역 해설 강의: 밑줄 긋기의 비밀

    한 달 전

    159 조회

    #2025대입

    2025 수능 미적분, 그 어려움의 끝을 보다

    한 달 전

    115 조회

    #수시

    수능 등급컷 완벽 분석: 당신의 전략은?

    한 달 전

    79 조회

    #2025대입

    2025 수능 대비, 과탐 문제 완벽 해설!

    한 달 전

    271 조회

    #2025대입

    2025학년도 수능 국어, 힐러문항 배제 이후의 새로운 방향!

    한 달 전

    121 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