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U 탐구형인재 면접은
다른 대학들처럼 제시문 기반의 문제풀이가 아닌
'생기부 기반'으로 진행됩니다.
학업역량과 지식의 유무보다는,
고등학생 수준의 탐구 능력, 진로에 대한 열정,
생기부 내용의 참/거짓 여부까지
다양한 관점에서 질문이 들어올 수 있습니다.
생기부를 잘 준비했다면?
3년동안 준비해온 진로에 따라 솔직하게,
논리적으로 대답하면 됩니다.
허나 생기부 관리를 소홀히 했다면,
세부 내용과 흐름을 집요하게 묻는 입학사정관에게
'변명'과 '앞뒤가 맞지 않는 대답' 만 할지도 모릅니다.
그만큼 생기부의 중요성은 200%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지난 기출에서는 어떤 질문들이 나왔는지,
확인해 보시겠습니다.
- 2학년 과학동아리 회장으로써, 세미나 준비 과정에서 생기는 의견 충돌을 조율했다고 기재했습니다. 가장 기억에 남는 사건이 있었습니까? OO학생이 조율한 내용을 구체적으로 이야기할 수 있나요? 그 결과로 비슷한 사건이 다시 일어나지 않았습니까?
- 물리학 실험 활동을 3학기 이상 꾸준히 진행했는데, 특히 관심 있는 분야가 있나요? 해당 분야에서 이슈가 되는 OO에 대해서 이야기할 수 있나요? XX 관련 진행했던 실험과 연결해서 생각해 볼 관점이 있습니까?
- 2학년에 40시간 진행된 다문화가정 멘토링 동행 봉사 중 본인과 멘티 학생 둘 다 가장 흥미롭게 참여했던 활동은 무엇이었는지 간략히 설명해주세요. 해당 활동은 어떤 과정으로 선정되었습니까? 보호자의 반응이나 피드백은 어떠했습니까?
'자신만의 답변' 은 아래의 가치들을 담고 있는지
다시 한번 점검해보시겠습니까?
중앙대의 3대 교육 이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사회지도자의 교양
2) 전문적 지식
3) 국제적 열린 세계관
다시 잘 읽어 보시면,
각각의 질문들에서 위의 3가지 가치를
검증하기 위한 흐름이 느껴지실 겁니다.
동아리 리더의 입장에서, 구성원간의
이해관계를 조율할 수 있는 '교양'
열정과 관심을 가진 분야에 대해서
깊이 파고드는 '전문적 지식'
다문화가정의 문화적 배경까지
진정으로 이해하는지 확인하는 '열린 세계관'
이런 면접관들의 의도를 정확히 파악했다면
명확하게 '중앙대 맞춤 답변'으로
질의응답을 진행할 수 있었을 것입니다.
'긴장하지 않고 답변하는 법'
'사람의 마음을 휘어잡는 스피치'
대부분의 대입 학원에서 가르치는
단순한 말하기 기술로는
목표한 학과의 핵심을 꿰뚫는 답변을
내놓을 수 없습니다.
반드시, 목표 대학의 실제 합격 경험과
그로 인한 노하우를 가지고 있는 학원과
함께하시기 바랍니다.
#2025대입
2025학년도 수능 국어영역 해설 강의: 밑줄 긋기의 비밀
한 달 전
159 조회
#2025대입
2025 수능 미적분, 그 어려움의 끝을 보다
한 달 전
115 조회
#수시
수능 등급컷 완벽 분석: 당신의 전략은?
한 달 전
79 조회
#2025대입
2025 수능 대비, 과탐 문제 완벽 해설!
한 달 전
271 조회
#2025대입
2025학년도 수능 국어, 힐러문항 배제 이후의 새로운 방향!
한 달 전
121 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