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영어 빈칸 유형 푸는 팁
1. 빈칸 4문제를 다풀려고 하지말아라.
2.빈칸 문제 중에서 풀만한 문제를 구별해라.
3. 내가 원하는 단어가 그대로 선지에 나오지 않으니, 아닌 선지를 지워내는 식으로 접근해라.
간단하게 이정도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빈칸문제를 대하는 저세가 아닌, 실제로 풀어야 할 상황에서는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빈칸 문제는 지문 자체의 난이도가 높고, 지문을 다 읽었다고 해도 빈칸의 들어갈 말의 의미가 헷갈릴 때도,
그것까지 알아도 선지에서 막힐 때도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앞서 말씀드린 것 처럼, 실전에서 빈칸 문제를 만났을 때 써먹을만한 팁에 대해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빈칸 문제를 잘 해결하지 못하는 친구들을 위한 팁입니다!)
1. 빈칸이 들어가있는 문장을 최대한 정확하게 해석하려고 하자! 반드시 “의식적으로” 할 수 있는 만큼 정확하게 해석해야 합니다. 그리고 들어갈 말이 무엇일지 한 번 생각해보도록 합시다. 여기서 꿀팁! 다른 문장 읽기 시작하면서 빈칸 문장을 까먹을 것 같으면 간단하게라도 내가 기억해야할 것은 수기로 써보세요 아이들이 새롭고 선호된 스토리를 만들게 한다. -> 아이들이 뭔가 신선한 좋은 스토리를 만들게 하는 “원인, 배경, 토대”를 찾아야지 라는 식으로 말이죠. 2. 최소 2문장이라도 대충 해석하려 하지말고 최대한 확실하게 해석하자. 3등급 아래 학생분들은 똑같은 시간에 대충 더 많은 문장을 해석하려고 하는 것보다 두 문장이라도 확실하게 해석해서 답을 고르는 것이 더 효율적입니다. (1) 카운셀러가 바꾸도록 돕는다 / 올드 스토리를 해체하고 선호된 스토리를 재구성하면서 / 그와 그의 삶에 대해. (2) 아이들이 뉴 스토리를 디벨롭 하기위해, 카운셀러와 아이는 시간을 찾는다. -> 해석한 두 문장에서 최대한 공통점을 찾아서 묶어보세요. 카운셀러, 아이에 대한 문제가 있는 스토리에서 벗어나 새롭고, 다양한 방식으로 생각하게 하나보다 라고 생각을 할 수 있습니다. 세번째, 선지 해석을 정확하게 하자. 선지에 모르는 단어가 있다고 한다면 합리적으로 찍는 연습을 해야합니다. 그리고 가능하다면 바로 정답을 고르는 것 보다는 확실히 아닌 것부터 선지에서 지워보세요 그리고 다시 남은 선택지 중에서 최대한 합리적인 답을 골라보세요 (다시 말하지만, 초보자에게 원하는 정답이 바로 보이는 건 거의 불가능합니다!) (1) 문제 스토리에 대한 예외들 ? -> 말이 애매하니까 세모? (2) 대안적 스토리로 부터 거리 = 대안적 스토리의 반대는 문제있는 스토리니까 탈락! (X) (3) 문제, 카운셀러로 부터 시작한 -> 카운셀러는 문제를 일으킬 수 없지! (X) (4) 올드 경험과 새로운 경험을 합치는 노력? -> 올드 경험은 해체해야지! (X) (5)번은 another’s의 의미를 정확하게 해석하기 어려움 -> 세모 이런식으로만 해도 답을 오지선다에서 이지선다로 바꿀 수 있습니다. 찍어서 맞출 확률이 20프로에서 그리고 위 문제의 정답은 1번입니다. 5번이 틀린 이유는, 여기서 another’s는 ‘또 다른 “아이”의 스토리들’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우리가 위해서 제대로 해석한 두 문장에서는 분명 “해당 아이와 그 아이의 삶”에 대해서만 나왔습니다. 즉 another’s 부분이 틀린 것입니다. 이렇게 빈칸 문제는 맞는 선지를 고르는 것보다 틀린 선지를 고르는 것이 더 쉽게 풀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빈칸 문제 풀 때 실전에서 써먹을만한 팁을 정리해보았습니다. 남은 시간동안 모두 화이팅 하시길 바랍니다!
문제가 아이와 아이의 삶에 영향을 안 끼친 시간. 그리고 집중한다, 아이가 생각하고 느끼고 행동하는 다른 방식에
50프로까지 오른다는 말이죠.
#2025대입
2025학년도 수능 국어영역 해설 강의: 밑줄 긋기의 비밀
한 달 전
159 조회
#2025대입
2025 수능 미적분, 그 어려움의 끝을 보다
한 달 전
115 조회
#수시
수능 등급컷 완벽 분석: 당신의 전략은?
한 달 전
79 조회
#2025대입
2025 수능 대비, 과탐 문제 완벽 해설!
한 달 전
271 조회
#2025대입
2025학년도 수능 국어, 힐러문항 배제 이후의 새로운 방향!
한 달 전
121 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