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입 정보_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 입학)
Q | 2025학년도에 무전공으로 학생들을 처음 모집한다고 하는데 무전공 입학이 무엇인가요? |
---|---|
A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 입학)란 학생이 전공을 정하지 않고 입학 한 후 대학의 체계적인 지원하 에서 진로를 탐색하고 전공을 자유롭게 선택하는 제도입니다. 기존의 자유전공, 무전공, 그룹·광 역단위 모집 등 다양한 용어로 섞여 있었으나 현재는 교육부가 전공자율선택제라는 용어로 통일 하였습니다. |
Q | 저는 편하게 무전공 입학으로 질문하겠습니다. 무전공 입학에는 유형 1과 유형 2가 있다고 하는데 구체적으로 알려주세요. |
A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 입학)의 유형1은 전공을 정하지 않고 모집(예; 자유전공학부 등) 후, 대학 내 모든 전공(보건의료, 사범계열 등 제외)을 100% 자율선택하는 것이고, 다만 서울과 수 도권 대학들 중 자유전공학부로 모집하되 계열을 구분하여 모집하고 입학 계열과 무관하게 대학 내 모든 전공을 100% 자율 선택하게 할 경우는 유형 1로 인정합니다. 아무래도 통합 모집할 경 우는 자연과학계열 학생들의 내신 성적이 우수하여 한쪽으로 쏠릴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분하여 선발하는 것으로 생각합니다. |
유형 2는 계열 또는 단과대 단위 모집 후, 계열‧단과대 내 모든 전공 100% 자율선택 또는 학 과 정원의 150% 이상 범위 내 전공을 선택할 수 있게 하는 것입니다. 인문사회계열 자연과학 계열로 나눠 선발한 후, 해당 계열 내에서 전공을 선택할 수 있다면 유형2에 해당됩니다. 첨단융 합대학 등의 단과대 단위로 선발해 2학년에 세부 전공을 정하는 방식도 유형2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 |
Q | 무전공 모집 인원의 확대로 전체적인 대학 모집 정원이 늘어나 대입이 전년도보다 수월하지 않을까요? |
---|---|
A | 무전공 선발인원의 확대는 개별 학과 모집인원의 축소를 의미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의 대 증원과 첨단학과의 순증과 달리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 입학)는 기존 학과들에서 정원을 빼 오는 형태로 추진됩니다. 기존 학과의 모집인원이 축소되고 입결에서 영향이 있으므로 지원 시 이점을 고려하여 지원해야 합니다. |
Q | 무전공 입학이 학생이 전공을 정하지 않고 입학 한 후 대학의 체계적인 지원하에서 진로를 탐색하고 전공을 자유롭게 선택하는 제도라면 제가 원하는 학과를 100%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나요? |
A | 전공자율선택제는 학생이 전공을 정하지 않고 입학 한 후 대학의 체계적인 지원하에서 진로를 탐색하고 전공을 자유롭게 선택하는 제도이지만 일부 대학에서는 완전히 자유롭게 선택할 수 없 는 칸막이들을 정했다. 예를 들어 경희대와 한국외대 경우 캠퍼스간 이동이 불가능하다, 반대로 경기대와 명지대는 캠퍼스 이동이 가능하다. 건국대는 단과대 자유전공학부(유형 2)를 교과전형 (KU지역균형)으로 모집하는데 문과대 학자유전공학부는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문화콘텐츠학 과, 사회과학대학 융합전공학부는 경제학과, 생명과학대학자유전공학부는 식량자원과학과 선택이 불가하고 공과대학의 신산업융합학과, K뷰티산업융합학과는 특성화고 졸재직자 전형으로만 선발 합니다. 중앙대, 가천대, 동덕여대, 세종대, 한국공학대 등의 유형 2 모집은 배정 인원이 전공 선 택 기준 정원의 150%를 초과할 수 없습니다. 인기있는 학과의 경우 학생들이 몰리다 보면 자신 이 희망하는 학과를 선택 못할 수 있으니 이 부분도 유의하여야 합니다. |
Q | 무전공 입학으로는 어떤 전형들이 있나요? |
A | 기존의 대입 전형과 마찬가지로 유형 1과 유형 2 모두 수시 전형(교과, 학종, 논술) 과 정시전 형(수능 위주)으로 선발합니다. 수능 위주인 정시 전형의 선발 인원이 가장 많은데 많은 대학들 이 정시 다군에 배치하였습니다, 수시 전형에서 상위권 대학들은 종합 전형이 중위권 대학들은 교과 전형의 선발 인원이 많습니다. 종합 전형에서는 기존의 학생부 종합 평가요소 중 진로 역 량보다는 다른 평가 요소를 적용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
Q | 무전공을 학생부 종합 전형으로 선발하는 대학에서 서류 평가에서 진로 역량보다는 다른 평가 요소 를 적용할 것이라고 하셨는데 궁금합니다. |
A | 무전공을 학생부 종합 전형으로 모집하는 대학의 서류 평가는 기존의 학생부 종합 전형의 평가 요소 중 하나인 진로역량을 다르게 평가합니다. 예를 들어 건국대는 진로역량 대신 성장역량을 경희대는 진로역량 대신 자기주도역량의 평가 요소로 서류 평가합니다. |
Q | 그럼 어떤 학생들이 무전공 입학에 도전하면 될까요? |
---|---|
A | 능동적이고 성실하게 학교 생활을 한 학생, 학생 자신이 관심 있는 분야에 몰두할 줄 아는 학 생, 인문·자연 할 것 없이 다양한 관심사를 가진 학생이면 도전해도 되지 않을까요? 쌤의 생각은 자기주도성, 창의성, 탄탄한 기초 학업역량이 가장 중요한 핵심 키워드 같아요. 또한 진로 목표 가 뚜렷하지 않지만 꾸준히 진로 탐색 활동을 했던 학생이나 상위 학과에 도전하기에 점수가 조 금 부족한 학생들에게는 무전공 입학이 또 하나의 기회가 되겠지요 하지만 진로 목표가 확실한 학생들은 지금 준비하고 있는 학생부 종합 전형을 꾸준하게 준비하면 됩니다. 또한 학생부 종합 전형 말고도 교과, 논술, 정시 전형으로도 선발하니 자신에게 맞는 전형으로 준비하되 교과 전형 은 교과 내신과 함께 수능최저를 대비하고 정시 전형은 영역별 고른 수능 성적을 얻도록 준비하 여야 합니다. |
Q | 그 외 무전공 입학에 대해 유의하여야 할 점이 있으면 알려주세요. |
A | 무전공의 무(無)는 없다는 의미가 아니라 다양성을 의미한다는 점입니다. 대학은 진로가 없는 학생들을 선발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전공에 관심을 가지고 학교 생활을 경험한 학생, 자기 주도적으로 미래를 설계할 줄 아는 학생을 선택할 겁니다. 대학 입학 후 학과에 대한 소속감 과 정체성이 부족한 대학 생활을 자기주도적인 진로의 탐색과 전공 설계와 함께 동아리 활동 등으로 채우는 대학 생활을 만들어가야 성공적인 무전공 입학이 가능하리라 생각합니다. |
Q | 네! 감사합니다. 전공자율선택제인 무전공 입학에 대해 궁금한 점이 많이 해결되었습니다. 열심히 준 비하여 목표하는 대학과 학과에 꼭 합격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A | 목표를 이룰 수 있도록 응원하겠습니다. 화이팅! |
#2025대입
2025학년도 수능 국어영역 해설 강의: 밑줄 긋기의 비밀
한 달 전
183 조회
#2025대입
2025 수능 미적분, 그 어려움의 끝을 보다
한 달 전
115 조회
#수시
수능 등급컷 완벽 분석: 당신의 전략은?
한 달 전
79 조회
#2025대입
2025 수능 대비, 과탐 문제 완벽 해설!
한 달 전
271 조회
#2025대입
2025학년도 수능 국어, 힐러문항 배제 이후의 새로운 방향!
한 달 전
136 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