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logo

#고등

국어 필수 및 선택과목 안내, 총 몇 과목? 진로 선택과목도 들어야 할까요?

  • 익명
  • 일 년 전
  • 955
  • 0
  • 3

회원가입 후 전체 콘텐츠를 볼 수 있습니다.

이 게시글은 자탐 회원만 읽을 수 있습니다.

처음 자탐에 방문하셨다면, 회원가입 후 이 게시글을 읽을 수 있습니다.

사실 국어는 사탐이나 과탐만큼 심각하게 선택 과목을 고민하는 과목은 아니죠.


1학년 때는 공통 과목인 <국어>를 수강하고, 2학년 3학년 때 일반 선택 혹은 진로 선택 과목을 골라서 이수합니다.

일반 선택과목에 있는 수업 중 2가지는 수능에 필수로 나오고, 1가지는 선택과목으로 선택해야 하기 때문에 수업을 선택하는데 큰 어려움을 경험하지는 않습니다.


그래서 오늘 언어 선택 과목의 선택 기간 및 평가 방법, 그리고 잘 다루지 않는 진로 선택 과목에 대해서도 간단하게 알아보기로 할까요!

 

1. 국어 과목별 특징과 핵심


국어의 선택과목은 총 7과목입니다.


선택과목으로는 일반선택과 진로 선택, 두 가지로 나눠지는데요.


  • 일반 선택 : 화법과 작문, 독서, 언어와 매체, 문학

  • 진로 선택 : 실용 국어, 심화 국어, 고전 읽기


이렇게 각각 4가지와 3가지로 나눠집니다.

 


여기서 잠깐! 🖐🏻

일반 선택과 진로 선택은 무엇이 다른지, 그 차이점을 아시나요?



일반선택 vs 진로 선택?




1) 일반 과목

일명 학교 지정 과목이라고 부릅니다.

과목에 따라 성적을 산출하는 방법이 다르기는 하지만, 일반적으로 일반 과목은 9등급제의 상대평가를 진행합니다. 즉, 내신 점수가 내가 받은 성적에 따라 9등급으로 나뉘는 거지요.



2) 진로 선택

진로 선택 과목은 등급을 A, B, C로 나눠서 성취평가를 활용하는 과목을 말합니다.

그러니까 사실상 내가 점수를 95점을 맞았는지, 90점을 맞았는지는 모르지만 일단 A를 받으면, 모두 동일하게 A등급이 되는 거죠. 대학의 학점제와 비슷한 느낌이라고 이해하면 된답니다.




2. 학기별 시간표?






1학기

2학기

고1

공통과목 <국어>

고2

문학 / 독서 / 언어와 매체

고3

화법과 작문

심화 국어/고전 읽기

 

모든 학교가 동일하지 않겠지만, 참고하시면 좋을 듯합니다.

대부분의 학교가 대략 이런 느낌으로 흘러간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래서 2학년 때가 국어 수업 시간이 아무래도 조금 많을 수밖에 없어 보입니다.

각각의 과목의 특징을 조금 더 살펴볼까요?



3. 일반선택



 

1) 문학

  • 산문과 운문으로 나뉘는데, 산문은 수업 시간에 배운 작품이 수능으로 출제되지만, 다른 부분 혹은 같은 작가의 다른 작품이 출제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 시의 경우에는 EBS와 연계되어 그대로 출제되는 경우가 많으니 EBS를 놓치지 않는 것이 중요하죠!

  • 보통 학교 지정 과목으로 2학년에 편성한 고교가 많습니다.

  • 문학은 내용이 흥미로운 경우가 많아 지루하지 않게 공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 그렇지만 흔히 말하는 '국어적 감각'이 없는 학생이라면 극복하기 참 힘든 과목이라는 단점이 있습니다.



  • 2) 독서

  • 일명 '비문학'이라고 불리는 과목입니다.

  • 철학/경제/과학/기술 등의 각종 전문 분야의 글을 가져오기 때문에 난해한 지문이 많을 수 있습니다. 이런 난해한 지문으로 수능 국어의 난이도를 조절하기 때문에 불수능의 원인이 되는 과목이라 열심히 공부해야 하는 과목이죠.

  • 독해 및 독서 능력이 필요한 과목이기 때문에 벼락치기로 점수를 올릴 수 없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렇지만 지문 분석 능력을 꾸준히 하면 문학보다는 점수가 올리기 어렵지 않나 싶습니다.

  • 보통 2학년에 편성해서 수행평가를 진행하는 경우가 많지만, 3학년에 편성한 학교라면 발표나 수행평가를 형식적으로 진행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3) 언어와 매체

  • 문법이 중요한 과목입니다. 음운/단어/문장 등의 문법을 언어에서 다루며, 인쇄/전자/대중매체의 유형과 영향력을 공부합니다.

  • 3학년에 편성하는 학교도 있지만, 매체 부분이 언론 혹은 미디어 쪽 진로인 학생들에게 중요하기 때문에 2학년에 배치하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 수능의 선택 과목이기도 해서, 수업을 들으며 수능도 함께 대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수능 대비를 위해 매체의 부분보다는 언어의 부분에 더 집중해서 수업하는 경우가 많을 수밖에 없는 현실입니다.


  • 4) 화법과 작문

  • 국어의 듣기, 말하기, 쓰기를 확장한 과목이라고 생각하면 쉽습니다.

  • 화법은 말한 것을 다른 사람에게 전달하는 방법을 뜻하고 작문은 쓰기를 말합니다.

  • 시험에 출제되는 문항은 별도의 사전 지식이 없어도 풀 수 있고, 아주 많은 학습이 필요하지 않은 편이기 때문에 반복 학습하면 단기간에도 수능에서 고득점이 가능한 과목입니다.

  • 그래서 교과 편성에서 3학년에 배치된 학교가 많습니다.

  • 나올 수 있는 문제가 뻔하기 때문에 수행평가로 평가하기도 좋은 과목입니다. 예를 들면, 관심 분야의 키워드를 소재로 하여 글쓰기 혹은 PPT 발표로 평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화법을 어렵게 느끼는 학생이라면, EBS 문제집이나 기출문제집을 푸는 것이 큰 도움이 됩니다.



3. 진로 선택


2학년 혹은 3학년에 고루 배치되는 만큼, 자신의 관심사나 활용도를 잘 고려해서 선택하면 좋은 국어 과목입니다.



1) 심화 국어

  • 수능에서 출제되지 않고, 논리적, 비판적인 사고력을 키우기 위한 심화 내용을 다루기 때문에 듣는 학생이 많지 않습니다.

  • 극소수의 학교에서 자습 시간에 편법으로 운영될 가능성이 높은 과목입니다.

  • 진로 선택 과목이라 성취도로 평가하기 때문에 성적에 대한 압박이 크지 않습니다.

  • 언어 관련 진로 희망자라면 자신의 관심을 보여주기 위해 수강하면 좋습니다.



2) 고전 읽기

  • 심화 국어보다 더 듣는 학생이 적을 듯한 과목입니다.

  • 교과서가 없어 창의적 융합 수업이 가능한 과목입니다.

  • 고전 원문을 읽어야 하는 만큼 높은 수준의 국어 역량이 필요합니다.

  • 여기서 고전은 옛 문학을 읽는 것은 아니고, 인류의 통찰이 담긴 사람들에게 널리 읽혀온 문학 및 철학서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논어와 같은 책입니다.

  • 심화 국어와 마찬가지로 언어 및 철학 관련 진로를 희망한다면 수강했을 때 큰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3) 실용 국어

  • 일상생활과 직업생활에서 업무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국어 능력을 기르는 과목입니다.

  • 바로 사회생활을 해야 하는 학생을 위한 취지가 담긴 만큼, 일반 고등학교보다는 특성화고에서 주로 편성되는 과목입니다.

  • 실용성을 바탕으로 하기 때문에 깊이 있는 국어 학습을 위한 과목은 아니랍니다.


    국어 필수 과목 및 선택과목, 진로 선택과목까지 알아보았습니다.

#국어
post-mid-banner-189
post-mid-banner-190
  • 익명

    #고등

    #영어

    영어 시험, 쉬웠다고? 인제나의 해설 강의로 속 시원히 풀어보자!

    한 달 전

    141 조회

    #수학

    수능 수학, 그 숨겨진 함정과 대비 전략

    한 달 전

    277 조회

    #수학

    수능 수학, 이렇게 풀면 된다! 김동완 선생님의 비법 공개

    한 달 전

    433 조회

    #수학

    고난도 문제를 정복하는 비법: 2025 대수능 미적분의 숨겨진 전략

    한 달 전

    150 조회

    #수학

    수능 수학, 두려움을 극복하고 자신감을 얻는 비결!

    한 달 전

    114 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