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디 학생부 전형이란, 교과 성적의 비율이 높은 수시 전형입니다.
교과 성적의 50~100%의 비율의 정량적 평가를 하는 전형입니다.
그러니까 학교 내신이 좋으면 합격하는 전형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수능보다 내신에 자신있는 학생들이 집중공략해야 하는 부분입니다.
무전공도 학생부 전형으로 선발하는 학교들이 꽤 많습니다. 서울 주요 대학들은 대부분 선발한다고 하는데요.
그 이유는 학생부 전형으로 선발해야만 평소 학업을 충실하게 이수해서 교과 성적이 우수한 학생을 선발할 수 있다 판단하기 때문입니다. 평소 성적이 좋은 학생이지만, 어떤 공부를 하고 싶은지 진로나 꿈이 뚜렷하지 않거나, 고등학생 때 진로가 바뀐 학생을 선발한 계획인거죠. 자율전공학부에서 전공 탐색을 거쳐 진입학과를 선택하도록 하겠다는 의도입니다.
평소 성실하고, 성적이 높은 학생 위주로 뽑겠다는 (아주 뻔하지만 전형적이고도 솔직한) 계획을 보여주는 학생부 전형입니다.
2. 종합 전형
종합 전형은 성적 뿐 아니라 여러 가지 모든 항목을 다 포함시키는 수시 전형입니다.
어려운 말로는 학생부 교과 성적과 함께 학업 태도, 노력, 의지, 열정, 도전 정신, 발전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수시 전형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그러니까 성적이 조금 낮은 학생이어도 만회할 기회가 있다는 것이죠. 성적의 추이나 과목 선택, 세특도 함께 평가하기 때문입니다.
성적 이외의 지표를 학생의 학교 생활 전반적인 충실도를 입체적으로 평가합니다.
원래는 이런 학생들은 진로 역량과 공동체 역량을 굉장히 높은 비율로 보았습니다.
내가 가고자하는 진로의 전공 관련 교과를 얼마나 궁금해하고 공부했는지, 진로 탐색 활동과 경험을 하며 얼마나 노력했는지 등을 보면서 진로에 얼마나 깊은 관심이 있는지 평가했습니다.
그런데 무전공 학과의 경우 이런 진로에 대한 역량을 그대로 적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습니다.
진로가 정해지지 않아 무전공을 선택했을 가능성이 크니까요.
그래서 건국대의 경우에는 진로 역량 대신 "성장 역량"이라는 항목을 본다고 합니다.
이 항목에서는 자기주도성, 창의적 문제 해결력, 경험의 다양성을 본다고 합니다.
초점은 이 학생이 얼마나 "다양한" 경험을 했는지 입니다. 전공을 탐색하기 위해 얼마나 다양한 시도를 해보고 알아보았는지에 대한 거죠.
다양한 과목을 주도적으로 선택해 목표에 맞게 찾아가는 과정을 평가에 반영하려고 하는 의도로 보이는데요. 다양한 과목을 들어보며 진로를 탐색하는 과정을 거쳐도 좋다는 뜻이겠죠.
대신 주도적으로 공부하고, 그에 대한 결과에 대해서느 평가하겠다는 의미겠죠.
진로가 뚜렷하지 않아서 여러 다양한 과목은 들었지만, 여전히 성적이 우수한 학생을 선발하겠다는 취지인거죠.
무전공 종합전형 요강은 서울대, 성균관대, 경희대 등에서 선발합니다.
오늘은 정말 구체적으로 어떤 수시 전형이 있어서 어느 정도 비율로 내신 성적이 들어가는지,
그래서 나에게는 어떤 유형이 유리할지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무전공, 첫 해인만큼 예상보다 합격선이 낮을 수 있으니,
원하는 학생들은 자신있게 지원해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2025대입
2025학년도 수능 국어영역 해설 강의: 밑줄 긋기의 비밀
한 달 전
183 조회
#2025대입
2025 수능 미적분, 그 어려움의 끝을 보다
한 달 전
115 조회
#수시
수능 등급컷 완벽 분석: 당신의 전략은?
한 달 전
79 조회
#2025대입
2025 수능 대비, 과탐 문제 완벽 해설!
한 달 전
271 조회
#2025대입
2025학년도 수능 국어, 힐러문항 배제 이후의 새로운 방향!
한 달 전
121 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