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게시글은 자탐 회원만 읽을 수 있습니다.
수험생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과목은 단연 수학입니다. 다들 한번 쯤은 분명 맞게 푼거 같은데도 답이 나오지 않아 당황하신 경험 있으실 겁니다. 수능 수학 문제를 풀다가 막힐 때, 당황하지 않고 문제를 풀어내기 위한 전략적인 접근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수능에서 효과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3단계 행동강령을 정리해보았습니다.
1. 계산 실수 점검하기
첫 번째로, 문제가 예상과 다른 결과를 보일 때는 계산 실수 여부를 가장 먼저 점검해야 합니다. 수학 문제를 풀면서 종종 "이 숫자가 맞나?"라는 의구심이 들 때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 대부분 풀고 있는 풀이 방향 자체는 맞지만 계산 과정에서 실수가 발생한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풀이가 어느 정도 진행되었지만 값이 이상하게 나온다면, 중간 계산을 빠르게 확인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계산 실수를 바로잡으면 문제는 자연스럽게 해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만약 계산이 정확하다면, 그다음 단계로 넘어가 문제 조건을 다시 한번 점검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2. 문제 조건 다시 확인하기
계산 실수가 없었다면, 다음으로는 문제 조건을 정확하게 적용했는지 다시 확인해야 합니다. 많은 경우, 문제의 조건을 잘못 해석했거나 중요한 조건을 놓쳐서 풀이가 막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문제에서 제공된 모든 조건을 제대로 사용했는지 체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먼저, 문제의 조건을 제대로 이해했는지 다시 읽어보고, 혹시 놓친 조건이 있는지 확인하세요. 수학 문제에서는 주어진 조건을 제대로 해석하지 못하면 문제의 흐름이 엉키기 쉽습니다. 문제의 조건 중 사용하지 않은 부분이 있는지 의식적으로 따져보고, 필요하다면 해당 조건을 활용할 방법을 고민해보세요.
3. 풀이 접근 방식 점검하기
마지막으로, 문제를 풀어내는 접근 방식 자체를 다시 점검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수능에서 출제되는 수학 문제들은 대부분 일정한 풀이 방법을 요구하지만, 때로는 풀던 방식이 문제의 핵심을 잘못 짚은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특히 어려운 킬러 문항에서 문제가 막힌다면, 내가 문제를 너무 복잡하게 풀고 있지는 않은지 다시 한번 생각해봐야 합니다.
이럴 때는 문제에서 묻고자 하는 개념과 의도를 다시 파악하고, 평가원이 요구하는 방식으로 접근을 수정해보세요. 풀이 방법을 조금만 바꿔도 쉽게 해결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막혔다고 해서 무조건 처음부터 다시 풀기보다는, 새로운 시각에서 접근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수학 문제를 풀다가 막혔다면, 이 3단계 행동강령을 기억하고 차분하게 점검해 나간다면, 실력을 온전히 발휘할 수 있을 것입니다. 또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문제를 풀면서 생긴 불안감을 떨쳐내고, 논리적으로 점검하며 해결책을 찾아가는 연습을 꾸준히 해나가는 것입니다. 모두들 파이팅하시길 바랍니다!
#영어
영어 시험, 쉬웠다고? 인제나의 해설 강의로 속 시원히 풀어보자!
한 달 전
115 조회
#수학
수능 수학, 그 숨겨진 함정과 대비 전략
한 달 전
260 조회
#수학
수능 수학, 이렇게 풀면 된다! 김동완 선생님의 비법 공개
한 달 전
433 조회
#수학
고난도 문제를 정복하는 비법: 2025 대수능 미적분의 숨겨진 전략
한 달 전
124 조회
#수학
수능 수학, 두려움을 극복하고 자신감을 얻는 비결!
한 달 전
114 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