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logo

학교별

인터리빙 프랙티스(Interleaving Practice) 공부법 _과목 교차하며 공부하기!

  • 익명
  • 일 년 전
  • 2.2k
  • 0
  • 4

회원가입 후 전체 콘텐츠를 볼 수 있습니다.

이 게시글은 자탐 회원만 읽을 수 있습니다.

처음 자탐에 방문하셨다면, 회원가입 후 이 게시글을 읽을 수 있습니다.

제가 좋은 공부법을 하나 가져왔습니다!

아주 특별한 방법은 아니지만, 공부하는 순서만 바꿔줘도 공부 효율을 올려줄 수 있으니
완전 꿀팁
🍯이니까 놓치지 마세요!

 


1. 인터리빙 프랙티스(Interleaving Practice)란?


인터리빙 프랙티스의 개념 인터리빙 프랙티스는 서로 다른 유형의 학습 자료를 번갈아 가며 학습하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수학을 공부할 때 단일 개념의 문제만 연속적으로 풀기보다는 여러 개념의 문제를 혼합하여 푸는 것이 인터리빙 프랙티스에 해당합니다.

 


그러니까 함수 풀고, 그다음 수열 풀고, 그다음 도형 풀고.

이렇게 단원을 오가면서 공부하는 방법이라는 것이죠.


이 방법은 학습자가 각 문제 사이의 차이와 연관성을 더 명확히 인식하게 하며,
더욱 깊은 학습을 가능하게 합니다.


2. 과학적 근거가 무엇인가요?


이 학습 방법의 과학적 근거 다수의 연구에서 학습자가 정보를 장기 기억에 저장하고,
나중에 그 정보를 더 잘 회상할 수 있게 도와주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여러 내용을 왔다 갔다 하며 공부하기 때문에 비교 학습을 가능하게 하여 비슷한 개념과 공식들 사이의 미묘한 차이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을 줍니다.


예를 들어, 수학과 언어 공부를 번갈아 가면서 한다고 생각해 봅시다.

 

수학 문제를 푸는 동안에는 주로 뇌의 해마와 이와 연결된 계산 관련 영역이 활성화되며,
언어 관련 과제를 할 때는 왼쪽 반구의 언어 영역이 더 활성화됩니다.


그러면 다양한 뇌 영역의 활성화되어 수학, 언어, 과학 등 다양한 과목을 교차하여 학습함으로써 뇌의 여러 영역을 번갈아 활성화시킵니다. 이는 한 영역에만 지속적으로 부담을 주는 것보다
뇌의 피로를 줄이고 전반적인 뇌 활동을 균형 있게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또한, 신경가소성(neuroplasticity)이라는 뇌의 능력을 촉진합니다. 이 개념은 새로운 것을
배우거나 경험할 때 뇌 구조가 변경되는 것을 포함합니다. 인터리빙 프랙티스는 다양한 유형의 정보 처리를 요구함으로써 뇌의 신경가소성을 촉진하고,
더 효과적인 학습 네트워크의 형성을 돕습니다.


그러니까 수학의 함수에서 배운 것과 도형에서 배운 것이 완전 따로 놀지 않고,
연결되는 부분이 있다면 연관 지어서 사고할 수 있도록 뇌의 연결 회로망이 바뀐다는 것이죠.
과목끼리의 경계가 허물어질 수 있는 작업을 하는 셈입니다.

3. 실제 활용 방법




 

실제 적용 방법 학생들은 자신의 학습 스케줄에 인터리빙 프랙티스를 통합하여,
다양한 주제를 교차로 학습할 수 있습니다.

 


각 과목의 권장 학습 시간 학습 효율을 최대화하기 위해 각 과목은 약 30분에서 최대 한 시간 동안 집중적으로 학습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 시간 동안 학습자는 과목에 깊이 몰입할 수 있으며, 이보다 긴 시간은 집중력 저하와 피로 축적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그 후 과목 간 전환 시간으로 약 5분에서 10분의 짧은 휴식 또는 활동 변경을 통해 이루어져야 합니다. 이 시간은 뇌가 이전 학습에서 다음 학습으로 전환하는 데 필요한 '재설정' 시간을 제공하며, 이는 새로운 과목에 대한 집중력과 효율을 높이는 데 도움을 줍니다.


그러니 학습 세션을 계획할 때, 수학 30분, 10분 휴식, 언어 30분, 10분 휴식, 과학 30분 순으로 배열하는 것이 이상적입니다. 뽀모도로 시간표를 활용해서 각 세션별로 다른 과목을 공부하면 좋을 듯합니다. 이러한 구조는 각 과목에 충분한 집중을 유지하면서도 뇌가 과도하게 피로해지지 않도록 돕는 방법이랍니다.



인터리빙 프랙티스의 가장 큰 장점은 다양한 문제에 대한 적응력과 유연한 사고 능력을 키울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초기에는 학습 진행이 느리게 느껴질 수 있으며, 잘못 적용할 머릿속에서 내용이 섞이면서 경우 혼란을 줄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시험기간에 사용하는 것보다는 이렇게 여유 있게 공부하는 시험기간에 활용하면 좋은 방법이랍니다.


뇌과학적 근거와 적용 방법을 통해 인터리빙 프랙티스의 이점을 최대화하길 바랍니다!!

#초등
#중등
#고등
post-mid-banner-189
post-mid-banner-190
  • 익명

    학교별

    #고등

    졸업은 끝이 아닌 새로운 시작, 그 감동의 순간

    6달 전

    386 조회

    #고등

    감성적인 음악과 시각적 요소의 완벽한 조화, 영상의 첫인상을 사로잡다!

    6달 전

    317 조회

    #고등

    학교 운영위원회, 그 안에서 발견한 교육의 진실

    6달 전

    329 조회

    #고등

    의대 진학 열풍 속, 중학교 선택이 미래를 결정짓는다!

    9달 전

    1496 조회

    #고등

    청소년 자녀와의 관계, 중년의 위기를 기회로!

    10달 전

    1130 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