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증원에 따라 응시자 수는 증가할 것이라는 것은 모두가 예상 가능했는데요.
의대 지원자 수는 약 1만 5천 명이 증가했지만, 의대 증원분으로 전체 경쟁률 자체는 하락했다. 지역별로 분석했을 때도 그 결과가 다릅니다. 전국 39개 학교 중 경쟁률이 상승한 곳은 15개 학교입니다. 이 중 가천대 인하대 성균관대 의대는 논술전형이 있는데, 엄청난 숫자가 몰렸습니다. 그리고 애당초 정원 증원 대상이 아닌 수도권 의대 경쟁률은 견고하게 나타났고, 최상위권 수험생들이 디거 몰려간 것으로 보입니다.
가천대 의대 논술 입학 전형이라는 점과 함께 지리적 이점이 작용하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최고 높은 경쟁률은 성대로 412 대 1, 인하대가 245 대 1, 가천대가 205 대 1로 어마 무시한 경쟁률을 보였습니다.
그리고 약대 무슨 일인가요?
전국 37개 약대 수시 경쟁률이 지난해보다 대폭 상승했습니다. 평균 43 대 1을 기록합니다.
특히 논술전형은 234 대 1을 보였고, 아주대 약대는 신설 논술전형에 882 대 1이라는 역대급 기록을 세웠습니다. 어마 무시한 경쟁률이죠.
이 현상은 여러 가지로 해석되는데, 논술 전형으로 인한 경쟁률 증가, 의대 증원에 따른 n 수생 증가로 인한 낙수회과, 의대 정원 증가로 인한 기대효과로 자연계열 학생들의 상향 지원을 원인으로 꼽고 있습니다.
상위권 학생들이 의대로 지원하겠지?라는 기대감이 반영된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또, 의대에 비하면 수능 최저 기준이 조금 더 맞추기 수월하기 때문에 조금 더 부담 없이 지원한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2. 인문계열의 강자 : 디지털 미디어학과
확실히 인문계열에서의 강자는 디지털 미디어학과와 역사학과, 국어국문학과를 들 수 있겠습니다.
이 학과가 인기가 많은 것은 흥미로운 내용을 배우는 것도 있지만, 이후 진로 선택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인 듯합니다. 우리가 매일 보고 듣는 디지털 세상과 관련된 일을 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일부 학과의 경쟁률은 사실상 눈치싸움에서 실패한 결과 더 높아진 것으로 보이기도 합니다.
순수 인문계열이라 부르기는 어렵지만, 뒤따라 경영학과와 경제학과 역시 인기가 많습니다.
3. 자연계열의 강자 : 생명과학공학부, 전자공학과, AI신설공학과
자연계열에서는 단연 생명과학공학부가 높은 경쟁률을 보였습니다.
의대 및 치대, 약대에 지원하지 못한 경우 생명과학공학부에 지원하는 학생이 많은 것으로 분석됩니다. 사회적으로 관심이 높은 것도 사실이고요.
그리고 뒤따라서는 인공지능 그리고 개발과 관련된 전자공학과와 컴퓨터공학과, AI 관련 신설학과들의 인기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습니다.
한국외대에 작년에 신설된 Language&AI 융합학부의 높은 경쟁률이 눈에 들어오네요. 무려 174 대 1입니다. 그 밖에도 성대의 반도체융합공과에서 24 대 1의 경쟁률을 보이고, 가천대는 빅데이터 경영 바이오로직스 학과에서 높은 경쟁률을 보였습니다. 전체적으로 첨단학과 증원에 따른 높은 지원이 뒤따랐는데, 수도권 쏠림이 심화되었다는 비판도 함께 받고 있습니다.
4. 사범대학은 경쟁률 하락 중
체육교육학과는 여전히 높은 경쟁률을 보이고 있지만,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사범대학의 경쟁률은 하락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5:1이 이하의 경쟁률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고, 비수도권에서는 이보다 더 낮은 경쟁률을 보였습니다.
직업 선호에 따른 변화와 함께 교원 감축 및 교권침해 등의 이슈와 사회적 분위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됩니다.
수시는 눈치 싸움이라고 하는데... 눈치 싸움에서 웃고 우는 한국의 대입을 보며 안타까운 마음이 들기도 하고, 사회의 흐름을 볼 수 있는 것 같기도 합니다. 경쟁률 자체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진짜 나와 경쟁할 사람의 숫자입니다. 이 모든 숫자의 학생이 진심으로 덤비지는 않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 경쟁률은 '허수'가 섞여 있는 숫자라는 것을 명심해 주세요!
그리고 중요한 것은 수능 최저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결국 나와의 싸움이 가장 중요합니다.
생각보다 맞추기 어려운 수능 최저를 맞추기 위해 끝까지 달려봅시다!
#2025대입
2025학년도 수능 국어영역 해설 강의: 밑줄 긋기의 비밀
한 달 전
159 조회
#2025대입
2025 수능 미적분, 그 어려움의 끝을 보다
한 달 전
115 조회
#수시
수능 등급컷 완벽 분석: 당신의 전략은?
한 달 전
79 조회
#2025대입
2025 수능 대비, 과탐 문제 완벽 해설!
한 달 전
271 조회
#2025대입
2025학년도 수능 국어, 힐러문항 배제 이후의 새로운 방향!
한 달 전
121 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