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술고사 준비와 수능 준비, 두 마리의 토끼를 모두 잡기 위해서는 어떻게 대비하고 공부해야 할까요?
논술시험은 내가 지원하는 계열이 인문계열인지, 자연계열인지에 따라 논술을 위한 공부에 빼는 시간 할당량이 달라집니다.
자연계열의 경우 수리논술 문제이기 때문에 수학 영역의 고난도 문항과 비슷하여 수능 공부와 공통점이 많습니다. 물론 풀이 과정을 조금 더 꼼꼼하게 공부해야 하겠지만, 완전히 다른 공부는 아니기 때문에 수능 수리영역 공부 + 논술 공부를 조금 더 더해서 공부하는 것으로도 수능과 논술,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을 수 있습니다.
인문계열의 경우 이야기가 조금 다릅니다. 인문계열 논술시험은 언어영역, 사회 영역과 접점이 없기 때문에 별도로 논술 공부 시간을 마련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논술 공부시간이 온전히 +알파 되는 거라, 하루에 수능 공부하는 일부의 시간을 빼서 논술 시간표를 추가해야 합니다.
인문논술을 준비하는 학생의 경우 수능 준비에서 자칫 동떨어질 수 있어서 긴장감을 놓치면 안 됩니다.
2. 계열별 논술 공부는 어떻게?
수능도 마찬가지입니다만, 논술도 기출이 중요합니다. 수능이 얼마 남지 않은 시점에서는 가장 효율적인 공부 방법입니다.
대학교마다 게시판에 논술 기출문제를 공개해두었습니다. 그리고 이 시험 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문제를 제출합니다. 그러니 응시한 학교의 논술 기출문제는 모두 풀어본다고 생각하고 대비해주세요. 모범답안도 함께 다운받아서 채점할 때 체크해봅니다.
수리논술의 경우 기초가 되는 개념과 그 공식과 개념이 어떻게 문제를 푸는데 이용할 수 있는지, 그 틀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인문계열의 경우는 최근 쟁점이 되었던 주제들이 반영될 수 있기 때문에, 뉴스를 눈여겨 보고 대략이라도 이슈가 어떤 내용인지, 어떤 쟁점으로 논의가 되었는지를 완벽하게는 아니라도 대략적인 흐름을 파악하는 것이 큰 도움이 됩니다.
이미 기출을 다 풀어본 학생도 반복해서 복습합니다.
모범답안을 최대한 보지 않고 나의 실력으로 먼저 풀어본 후, 풀이를 보며 비교해 보시는 게 좋습니다.
3. 수능에 맞춘 공부 시간표 : 자연계열
과목 | 시간표 | 공부량 |
1교시 : 국어 | 8:40~10:00 | 80분 국어 공부 |
휴식 | 10:00~10:20 | 20분 휴식 |
2교시 : 수학 | 10:30~12:10 | 100분 수학 공부(수리논술 포함) |
점심시간 | 12:10~13:00 | |
3교시 : 영어 | 13:10~14:20 | 70분 영어 공부 |
휴식 | 14:20~14:40 | |
4교시 : 한국사 | 14:50~15:20 | 30분 한국사 복습 |
휴식 | 15:20~15:35 | |
5교시 : 탐구 1 | 15:35~16:05 | 30분 탐구 1 복습 |
탐구 2 | 16:07~16:37 | 30분 탐구 2 복습 |
저녁식사 후 논술 공부 | 18:00~19:30 | 문제풀이 집중 |
탐구 1, 2까지 모두 마무리한 후, 이른 저녁을 먹고 다시 논술 문제풀이를 공부합니다. 이번에는 특히 시간에 맞춰 공부를 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 같네요!
웬만한 기출문제는 거의 다 풀어보셨을 텐데요. 복습하고 싶은 회차의 수학 모의고사를 100분에 맞춰 기출문제를 처음부터 끝까지 풀거나, 내가 계속 틀리는 것만 집중적으로 공부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그리고 마지막에 주관식을 풀 때 논술 형식으로 풀이를 하는 연습을 해줍니다. 이후 추가 1, 2문제의 논술 문제를 풀어주면 100분 공부를 마무리합니다.
이후 부족했거나 조금 더 연습이 필요한 부분은 탐구 공부까지 마무리한 후 풀이를 복습하고 공부하는 시간을 저녁 식사 후 가져봅니다.
3. 수능에 맞춘 공부 시간표 : 인문계열
과목 | 시간표 | 공부량 |
1교시 : 국어 | 8:40~10:00 | 80분 국어 공부 |
휴식 | 10:00~10:20 | 20분 휴식 |
2교시 : 수학 | 10:30~12:10 | 100분 수학 공부 |
점심시간 | 12:10~13:00 | |
3교시 : 영어 | 13:10~14:20 | 70분 영어 공부 |
휴식 | 14:20~14:40 | |
4교시 : 한국사 | 14:50~15:20 | 30분 인문논술 문제 풀이 |
휴식 | 15:20~15:35 | |
5교시 : 탐구 1 | 15:35~16:05 | 30분 탐구 1 복습 |
탐구 2 | 16:07~16:37 | 30분 탐구 2 복습 |
저녁식사 후 논술 공부 | 18:00~19:30 | 문제풀이 집중 |
인문계열의 경우에는 자연계열과 다르게 겹치는 부분이 없기 때문에 따로 시간을 내어 공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래서 한국사 시간 30분을 인문논술 문제 풀이 시간으로 사용합니다. 채점하고 지문을 분석하는 것 까지는 못해도, 한 문항에 대한 문제 풀이를 하는 연습은 해보실 수 있을 것 같아요.
인문계열 학생의 한국사는 거의 완성되어 있다고 보아도 무방합니다. 그러니 한국사 시간에 문제 풀이를 하고, 그 후에 문제풀이 시간을 저녁 식사 후 가지는 것이 좋습니다.
--
논술 시험을 앞둔 학생을 위한 시간표를 짜보았습니다.
논술에만 치중하느라 수능을 잊어서는 안 되니, 두 마리 토끼 모두 놓치지 않도록 효과적인 하루 시간표를 짜서 집중해 봅시다!
수능을 향해 달려가는 모든 학생분들 응원합니다! 파이팅! ❤️
#2025대입
2025학년도 수능 국어영역 해설 강의: 밑줄 긋기의 비밀
한 달 전
159 조회
#2025대입
2025 수능 미적분, 그 어려움의 끝을 보다
한 달 전
115 조회
#수시
수능 등급컷 완벽 분석: 당신의 전략은?
한 달 전
79 조회
#2025대입
2025 수능 대비, 과탐 문제 완벽 해설!
한 달 전
271 조회
#2025대입
2025학년도 수능 국어, 힐러문항 배제 이후의 새로운 방향!
한 달 전
121 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