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공적인 대학 입시를 위해서는 매년 조금씩 달라지는 대입 전형 방법에 맞게 전략을 짜는 것이 중요한데요. 최근 주목해야 할 정시 전형의 변화 중 하나는 서울대, 고려대에 이어 연세대까지 2026학년도 입시부터 정시 내신 반영 대학으로 전환된다는 사실입니다. 많은 입시 전문가들은 최상위 SKY에서 시작된 변화가 다른 대학의 입시 전형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정시 내신 반영 대학에 대해 알아보고, 서울대, 고려대, 연세대 정시 내신 반영 방법을 자세히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출처: 중앙일보
정시 내신 반영이란 수능 성적 100%로 대학 합격 여부를 결정하는 정시 전형에 내신 교과 성적을 추가로 평가에 반영하는 것을 뜻합니다. 결국 수능 성적이 높은 학생도 내신 성적 관리가 어느 정도 되어 있어야 한다는 말입니다. 서울대와 고려대는 이미 정시 전형에 내신 성적을 반영하고 있는데요. 2023학년도부터 서울대 정시 내신 반영이 시작되었고, 2024학년도부터 고려대 정시 내신 반영도 시작되었습니다. 서울대, 고려대에 이어 연세대까지 2026학년도 대입부터(현재 고1 대상) 정시에 내신을 반영할 예정이라고 발표했습니다. 정시 내신 반영 대학을 통해 N수생 및 사교육이 활발한 수도권 지역의 학생들이 최상위권 대학 합격을 휩쓰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고 전망됩니다.
서울대 정시 내신 반영은 일반전형, 정시 지역균형 전형에 적용됩니다. 서울대 정시모집에서는 수능 성적 평가에서 영역별 상대 반영 비율이 적용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국어 100, 수학 120, 사회/과학/직업탐구 80으로 수능 성적이 환산됩니다. 정시 전형별로 내신 점수가 얼마나 반영되는지, 내신 점수 산출 기준은 무엇인지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출처: 서울대 2024학년도 대학 신입학생 정시모집 ‘나’군 안내
서울대 정시모집은 일반전형에서 1,000명이 넘는 합격자를 선발하기 때문에, 일반전형의 정시 모집 합격자 비율이 가장 크다고 보면 됩니다. 일반전형에서는 1단계에서 수능 성적으로 2배수를 선발하고, 2단계에서는 수능 성적을 80%, 교과평가를 20% 반영해 합격자를 선발합니다.
출처: 서울대 2024학년도 대학 신입학생 정시모집 ‘나’군 안내
2단계 교과평가에서 교과평가 점수는 2인 평가조합 + 기본점수 15점으로 총점 20점 만점으로 계산됩니다. 2명의 평가자가 학생의 내신 성적을 각자 평가해서 등급을 부여하고, 2인 평가 조합에 따라 5점(AA)부터 0점(CC)까지 내신 점수가 산출됩니다. A는 5점, B는 3점, C는 0점으로 계산되어 AA(5점), AB(4점), BB(3점), BC(1.5점), CC(0점)까지 5개의 등급 조합이 만들어집니다.
출처: 서울대 2024학년도 대학 신입학생 정시모집 ‘나’군 안내
서울대 지역균형선발은 그동안 수시 전형에서만 합격자를 선발했지만, 2023학년도 입시부터는 정시에도 지역균형 전형이 추가되어 합격자를 선발하게 되었습니다. 서울대 정시 지역균형은 한 학교당 2명의 학생이 지원할 수 있고, 2명의 학생은 학교장 추천을 받아야 합니다. 달라진 점은 고3 학생에 더해 해당 고등학교를 졸업한 N수생까지 지원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자세한 수능 성적 환산 방법은 최신 모집 요강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출처: 서울대 2024학년도 대학 신입학생 정시모집 ‘나’군 안내
서울대 정시 지역균형에서는 수능 성적 60% + 교과평가 40%로 내신을 반영합니다. 교과평가 점수는 2인 평가 조합 + 기본점수 30점으로 총점 40점 만점입니다. 2인 평가 조합에 따라 10점(AA)부터 0점(CC)까지 내신 점수가 산출됩니다. A는 10점, B는 6점, C는 0점으로 계산되어 AA(10점), AB(8점), BB(6점), BC(3점), CC(0점)까지 5개의 등급 조합이 만들어집니다.
출처: 서울대학교
일반전형과 지역균형 전형에서 내신 점수(AA~CC)는 학생부 교과학습발달과정에 대한 종합적 평가를 통해 산출됩니다. 교과 이수 현황, 교과 학업성적,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만 평가에 반영되고, 출결, 봉사활동, 동아리활동은 반영되지 않습니다. 교과 이수 현황은 진로와 적성에 따라 어떤 교과목을 선택해서 이수했는지 평가하는 것이고, 교과 학업성적은 과목별 내신등급을,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은 학업 태도와 진로에 대한 관심도를 평가하는 항목입니다. 평가 등급 A, B, C는 절대평가로 부여되고 AA, AB, BB, BC, CC의 5가지 조합이 만들어집니다.
수능 성적이 최상위권인 의대 정시에서는 내신 점수의 영향력이 크지 않아 수능 점수가 높은 순서대로 합격자가 결정되었다고 전해지지만, 일반학과 또는 인원이 많은 대형학과에서는 내신 점수가 수능 점수를 뒤집는 경우도 발생했다고 합니다. 서울대에서 내신 점수를 산출하는 평가 기준은 발표했지만 영역별 세부 점수 또는 실제 사례에 대한 발표가 없었기 때문에 직접 확인은 어려운 상황입니다.
고려대 정시 내신 반영은 교과우수전형에 적용됩니다. 일반전형은 이전과 같이 수능 성적 100%로 합격자를 선발하고, 교과우수전형은 내신 성적을 20% 반영합니다. 고려대 정시 내신 반영의 내신 점수 산출 방법과 평가 기준에 대해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고려대는 교과우수전형으로 정시 모집 합격자의 30%가량을 선발합니다. 교과우수전형의 지원 자격은 2024학년도 정시 모집 기준, 국내 고등학교 2016학년도 졸업자(2016년 2월 졸업)부터 현역 고3까지 학생들 중에서 6학기 교과 성적이 기재된 자로, N수생이라면 최신 모집 요강을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고려대 교과우수전형은 수능 성적 80%, 학생부교과 20%를 반영해 합격자를 선발합니다. 서울대가 학생부 교과학습발달과정에 대해 정성적 평가를 진행하는 것과 달리 고려대는 학생부교과점수를 정량적으로 산출합니다.
모집단위별 수능 반영영역 및 점수와 수능 성적 산출 방법입니다. 산출식을 따라 계산된 점수는 교과전형에서 수능 80%로 반영되고, 교과 성적은 학생부교과점수로 산출되어 20% 반영됩니다.
학생부교과점수는 교과평균등급점수를 산출하고 기본점수 100점을 추가하면 됩니다. 교과평균등급점수에는 학년별, 교과별 반영비율이 따로 없이 모든 교과목이 변환석차등급으로 반영됩니다. 교과평균등급 산출식과 교과평균등급점수 산출 방법은 위의 표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교과평균등급점수 산출 시 1등급 100점, 2등급 98점, 3등급 94점, 4등급 86점, 5등급 70점으로 등급이 낮아질수록 점수 차가 커지기 때문에 3등급 이하 학생에게는 내신 점수가 불리하게 산출될 수 있습니다. 고려대 인재발굴처에서 발표한 교과우수전형 학생부 점수 산출 예시를 확인해 보시고, 대입정보포털 어디가에서 내신 점수를 산출해 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출처: 연세대학교
연세대 정시 내신 반영은 2026학년도 대입부터 적용될 예정입니다. 연세대 정시 내신 반영의 교과 반영방법을 비롯한 세부 정보는 아직 발표되지 않았지만, 서울대와 비슷하게 학생부 교과학습발달과정에 대한 정성적 평가 방식을 택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서울대, 고려대, 연세대 정시 반영의 흐름이 이어짐에 따라 이후 입시에서 다른 정시 내신 반영 대학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2025대입
2025학년도 수능 국어영역 해설 강의: 밑줄 긋기의 비밀
15일 전
113 조회
#2025대입
2025 수능 미적분, 그 어려움의 끝을 보다
15일 전
72 조회
#수시
수능 등급컷 완벽 분석: 당신의 전략은?
15일 전
38 조회
#2025대입
2025 수능 대비, 과탐 문제 완벽 해설!
15일 전
190 조회
#2025대입
2025학년도 수능 국어, 힐러문항 배제 이후의 새로운 방향!
16일 전
41 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