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logo

#입시

[자탐연구서] 수능 한국사 공부해야할까?

  • 익명
  • 일 년 전
  • 4.1k
  • 1
  • 0

안녕하세요. 오늘은 수능 한국사에 관련된 글을 써보려고 합니다. 수시로 대학을 노리는 학생들에게도 정시로 대학을 노리는 학생들에게도 한국사는 은근히 신경쓰이는 존재입니다. 수시로 지원한 대학에서 한국사 최저 등급을 설정해놓는 경우도 있고, 정시인 경우에도 다수의 대학에서 한국에 등급이 4등급 밖인 경우 디메리트가 있기 때문이죠.

하지만 수능 국영수탐 공부를 하며 한국사까지 챙기기란 귀찮고 까다롭습니다. 그래서 많은 학생들이 한국사를 언제부터 얼마나 공부해야할지 고민하는 일이 많습니다. 그래서 주변에서 조언을 얻어서 간단하게 글을 써보려고합니다.


한국사 챙겨야할까?

대입 정시에서 먼저 한국사의 비중과 영향력을 그다지 큰 편은 아닙니다. 일단 한국사는 절대평가로 진행이 되며, 40점 이상인 경우에는 1등급, 35점 이상은 2등급 30점 이상은 3등급 25점 이상은 4등급으로 등급컷이 나누어집니다. 제가 4등급 컷까지만 적어놓은 이유는 정시 한국사에서 4등급이상은 맞는 것을 무조건 추천드리기 때문입니다.

그 이유는 대부분의 대학에서 4등급 밖으로 등급이 떨어지게 되면 감점이 크게 되기 때문입니다. 국영수탐을 다 잘봐놓고 한국사에서 5, 6등급이 나와서 정시에서 불리하게 되면 억울하겠죠?



위 표는 대학별로 한국사 등급별 점수입니다. 대부분의 학교에서 한국사는 등급별 가감점 방식으로 반영하고 있습니다. 즉 한국사를 제외하고 점수를 합산하여 총점을 구하고, 그 총점에서 가감하는 방식입니다. 그러나 일부 대학에서는 한국서 반영비율을 적용하여 한국사를 포함한 만점으로 계산하기도 합니다.

중요한 점은 위에 표를 보시면 아시다시피 많은 학교에서 1~4등급 전후까지는 등급 간 점수 차가 없거나 미미하기 때문에, 수능에서 꼭 4등급 이상은 받아야합니다.


어떻게 공부해야하나

한국사는 시대마다 묻는 문제들이 일관적이고 내용들이 구체적으로 선지로 출제되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구체적으로 내신공부하듯이 외우는 것이 아니라 키워드 위주로 공부하면 충분합니다.

추천드리는 공부법은 최근 5개년 기출을 뽑은 후 풀어봅니다. 그후 맞은 문제든 틀린 문제든 문제의 보기와 선지들을 정리하여서 보기가 무엇에 과한 설명인지, 어느 사람의 업적인지, 어느 시대에 일어난 사건인지들을 정리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혹은 짧게 나온 인강들을 들으며 공부하시는 것도 좋습니다. 한국사는 원래도 늦게 시작하는 사람들이 많으니 아직 아무것도 안했다고 전혀 불안해 할 필요도 없습니다. 9월부터 1주일에 1번 짧게 보거나 수능 직전에 2주정도 보는 것도 충분합니다!


#2025대입
post-mid-banner-189
post-mid-banner-190
  • 익명

    #입시

    #2025대입

    2025학년도 수능 국어영역 해설 강의: 밑줄 긋기의 비밀

    한 달 전

    159 조회

    #2025대입

    2025 수능 미적분, 그 어려움의 끝을 보다

    한 달 전

    115 조회

    #수시

    수능 등급컷 완벽 분석: 당신의 전략은?

    한 달 전

    79 조회

    #2025대입

    2025 수능 대비, 과탐 문제 완벽 해설!

    한 달 전

    271 조회

    #2025대입

    2025학년도 수능 국어, 힐러문항 배제 이후의 새로운 방향!

    한 달 전

    121 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