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logo

#입시

[자탐연구서] 현역 수시러를 위한 꿀팁들

  • 익명
  • 일 년 전
  • 1.0k
  • 0
  • 0

안녕하세요. 오늘은 수시에 대한 글을 써보려고 합니다. 모두들 알다시피 대학에 입학할 수 있는 전형을 크게 나누면 정시와 수시로 나누어집니다. 정시는 수능을 보고 그 성적에 따라 대학교를 지원하는 것이고 수시는 고등학교 3년 동안의 성적과 생기부, 자소서와 면접까지 거쳐 지원한 대학교에서 합불을 알려줍니다. 한번의 시험으로 좌우되는 정시는 수험생들에게 많은 부담감을 주기 때문에, 현역인 학생들은 이 수시제도를 잘 이용하여 대학교를 가는 것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다만 수시에 대해서 잘 모르는 학생들과 학부모들이 많기에 간단하게 글을 작성해보겠습니다

수시란?

수시란 대학수학능력시험인 수능을 치르기 전 내신 성적을 중심으로 학생을 평가하고 선발하는 대학 입시 전형입니다. 수시는 수능 전에 실시되고, 수시 모집에서 합격한 경우 정시 모집 혹은 추가 모집에 지원할 수 없습니다.

먼저 2025 수시 지원 기간은 99일부터 시작합니다. 그 후로 13일까지 3일간 진행됩니다. 수시 원서 접수 마감 시간은 일반적으로는 18시 이지만, 대학마다 또 상이하기 때문에 혼동하지 않도록 대학 별 전형을 잘 알아보고 꼭 착각없이 지원하시길 바랍니다.

수시 지원 횟수는 수시 모집에 해당하는 모든 전형에서 최대 6회까지 지원할 수 있습니다. 지원한 대학 수와 상관없이 수시 모집에서 지원한 모든 대학의 전형을 기준으로 지원 횟수를 계산하며, 1개 대학에 복수 지원을 해도 각각을 지원횟수로 인정합니다. 또 전형 별로 복수 지원 여부가 다르기 떄문에 반드시 지원 전 확인해야합니다.

또한 KAIST나 한국에너지공과대학같이 교육부 주관이 아닌 과학기술부 주관 과학 기술원 대학들은 6장의 수시 지원 원서와 별개로 한 장을 더 지원할 수 있습니다.

 

수시 팁

(1) 교과와 종합

먼저 학생부종합 전형을 쓸 때에는, 서류평가에서 정확히 무엇을 평가하는지 숙지하여야 합니다. 대부분의 학교는 전공적합성을 평가합니다만, 그렇지 않은 학교도 있으니 정확히 숙지하고 생기부 작성 때부터 전략을 세워서하면 유리합니다. 하지만, 종합 전형을 교과 전형에 비해서 커트라인을 계산하기에 애매합니다. 즉 합격을 보장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하향 지원으로 종합전형을 지원하는 것을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교과 전형을 커트라인이 높게 잡히는 전형입니다. 수능 최저까지 없는 전형이라면 그 커트라인은 더더욱 높게 잡힙니다. 하지만 그만큼 추합이 많이 도는 경향이 있으므로 70%컷만 보고 제외시킬 필요는 없습니다.

 

(2) 상향? 하향?

점수가 애매해도 상향 지원을 할 수 있습니다. 다만 합불 발표가 이른 전형은 불합격 시 수능 전에 멘탈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추가로 상향을 지를 경우에는, 내 생기부가 대학 서류평가에 적합한 경우다 하면 학종으로 상향지원을 하는 것이 낫습니다.

또한, 정시성적이 어느정도 나와서, 하향지원을 고민할 경우에는, 수능 후 면접 전형이 있는 원서를 하향으로 쓰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이유는 수능성적을 확인한 후, 면접을 갈지 안갈지 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3) 3학년 2학기를 챙겨야하나?

3학년 2학기 내신의 경우 대부분의 학교가 수시 성적에 포함하지 않기에, 내신을 챙기지 않을 때가 많습니다. 다만, 솔직히 말해서 재수는 흔치 않은 일이 아닙니다. 3학년 2학기 내신은 하루만 챙겨도 좋은 성적을 받을 수 있으니 조금이라도 대비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재수 때 유용하게 쓰일 수 있습니다.


#2025대입
post-mid-banner-189
post-mid-banner-190
  • 익명

    #입시

    #2025대입

    2025학년도 수능 국어영역 해설 강의: 밑줄 긋기의 비밀

    한 달 전

    183 조회

    #2025대입

    2025 수능 미적분, 그 어려움의 끝을 보다

    한 달 전

    115 조회

    #수시

    수능 등급컷 완벽 분석: 당신의 전략은?

    한 달 전

    98 조회

    #2025대입

    2025 수능 대비, 과탐 문제 완벽 해설!

    한 달 전

    286 조회

    #2025대입

    2025학년도 수능 국어, 힐러문항 배제 이후의 새로운 방향!

    한 달 전

    136 조회